日 "후쿠시마 오염수 해양 방류"..韓 "강한 유감"(종합)
일본 정부가 2011년 후쿠시마 제1 원자력발전소 사고 이후 발전소 부지 내 탱크에 저장해오던 다량의 방사능 오염수를 해양에 방류하기로 최종확정했다. 일본 공영방송 NHK, 교도통신 등 일본 언론은 13일 일본 정부가 방사능 오염수 해양 방류 계획이 담긴 ‘처리수 처분에 관한 기본 방침’을 관계 각료회의에서 결정했다고 보도했다.
일본은 자국의 안전기준을 강화해 오염수가 바다에 흘러 들어가도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지만, 125만t(톤)이 넘는 막대한 양의 오염수를 버린다는 점에서 국제사회의 우려를 낳고 있다. 또 오염수에서 제거되지 못한 삼중수소(tritium·트리튬)가 수산물을 통해 체내에 피폭을 일으킬 가능성도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한국 정부는 이날 일본 정부의 결정에 강한 유감을 표하며 “우리 국민의 안전을 위해 필요한 모든 조치를 다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 2년 뒤 방류 시작…2041~2051년까지 장기간 방류
후쿠시마 제1 원전 운영사인 도쿄전력(TEPCO)은 2011년 사고 발생 한 달여 만에 원전을 영구 폐쇄하기로 결정하면서 그해 12월 후쿠시마 제1 원전의 폐로 조치를 위한 중장기 로드맵을 마련했다.
빗물과 지하수 유입 등으로 매일 방사능 오염수가 눈덩이처럼 불어나자 도쿄전력은 탱크를 건설해 오염수를 저장하는 한편 오염수 처리를 핵연료봉 제거, 원전 폐기물 대책과 함께 폐로 작업의 중장기 로드맵에 포함시켰다.
현재 후쿠시마 제1 원전 부지에 세워진 탱크의 오염수 저장 용량은 총 137만t으로 지난달 중순 기준 약 92%인 125만844t이 채워진 상태다. 도쿄전력은 내년 가을쯤 오염수 탱크가 포화 상태에 이를 것으로 예상하고 오염수처리대책위원회 등을 꾸려 지난해 10월부터 본격적으로 오염수의 해양 방출을 추진해왔다.
이날 일본 정부가 오염수 해양 방출을 확정한 만큼 도쿄전력은 조만간 일본 원자력안전규제위원회에 오염수 처리 계획을 제출하며 오염수 방출 절차를 본격적으로 밟을 것으로 예상된다.
도쿄전력이 공개한 후쿠시마 폐로 홈페이지에 따르면 2022~2024년 탱크에 저장된 오염수의 총량을 절반 수준으로 줄이고, 2025년에는 하루 발생 오염수의 양을 100t 수준으로 낮출 계획이다.
일본 원자력안전규제위원회 승인 절차와 오염수 처리용 시설 건설 등에 필요한 시간을 고려하면 후쿠시마 오염수의 방류는 2년 뒤 시작될 가능성이 높다. 도쿄전력은 홈페이지에 폐로 작업 완료 시점을 2011년 기준 30~40년 뒤라고 밝히고 있어 오염수 방류도 2041~2051년까지 장기간에 걸쳐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 삼중수소 인체 영향은 논란
도쿄전력이 방사성 오염수 처분 방식으로 해양 방류를 선택한 것은 기술적으로 덜 까다롭다는 전문가들의 의견을 반영한 것이다. 일본 경제산업성 산하 전문가 소위원회는 지난해 2월 오염수 처분 방안으로 해양 방류와 대기 방출 가운데 해양 방류가 기술적 측면에서 더 확실하다는 의견을 냈다. 대기 방출은 오염수를 끓여 증기 상태로 만든 뒤 대기 중으로 날려 보내야 하는 만큼 기술적으로 더 까다로운 것으로 판단했다.
다만 방사성 핵종에 대한 우려는 여전히 남아 있다.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에는 세슘137, 스트론튬90 등 방사성 핵종이 다수 들어있다. 이중 삼중수소는 다핵종제거설비(ALPS)를 이용해도 제거되지 않아 바다에 그대로 흘러 들어갈 경우 수산물을 통해 체내에 쌓일 수 있다. 삼중수소는 안정적인 수소나 중수소와 달리 불안정해 방사선을 방출하면서 헬륨-3으로 바뀌고, 이 과정에서 인체에 피폭을 일으킬 수 있다.
도쿄전력은 삼중수소의 농도를 기준치(6만Bq/m³)보다 한참 낮은 1500Bq/m³ 이하로 희석해 방류하겠다고 밝혔지만, 오염수에서 삼중수소가 완전히 제거되는 것은 아니어서 수산물과 인체에 미칠 영향은 여전히 불투명한 상태다.
○ 韓 정부, 강력 유감 표명
정부는 일본 정부의 결정에 강한 유감을 나타냈다. 구윤철 국무조정실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정부는 일본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처리 과정 전반에 대한 투명한 정보공개와 검증을 강력히 촉구한다”며 “이번 결정에 대한 우리 국민의 반대를 일본 정부에 분명하게 전달할 것”이라고 밝혔다.
국내 해역에 대한 방사능 유입 감시는 강화한다. 삼중수소 감시 지점을 기존 54개 정점에서 71개 정점으로 늘리고, 주요 해수 유입 지점에 대한 조사 빈도도 연간 1회에서 4회로 더 자주 조사한다. 수입 수산물에 대한 방사능 검사 시간은 기존 1800초에서 1만 초로 늘리기로 했다. 현재 기술 수준으로는 한반도 해역에 방사성 물질이 흘러들어오면 이틀 만에 확인할 수 있다.
향후 일본의 오염수 방출이 실제로 이뤄지면 국제원자력기구(IAEA)가 국제적 검증단을 구성해 안전성 검증에 나서게 하는 공동 대응에 나서겠다는 입장도 표명했다. 구 실장은 “국제검증을 통하거나 한국의 과학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피해가 발생하면 배상이나 중단 요구 등 단호한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현경 기자,김우현 기자 uneasy75@donga.com,mnchoo@donga.com]
Copyright © 동아사이언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