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커넥트 ON> '무시험' 노르웨이, 공정성 논란 없는 이유

정원민 2021. 4. 13. 14:43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EBS 글로벌 뉴스]

무시험 입시 치른 노르웨이, 우리로 따지면 수능 없이 대입을 치른 셈인데, 공정성 논란 없었다니 신기하지요. 

현지의 글로벌 리포터와 자세한 이야기 나눠봅니다. 

글로벌 커넥트 ON입니다. 

[리포트]

노르웨이에서 연구원으로 일하고 있는 정원민 리포터. 

무시험 입시, 학생들은 공부를 잘해도 걱정, 못해도 걱정이라는군요. 

인터뷰: 정원민 / 글로벌 리포터

"(상위권 학생들은) 성적이 좋지만 내가 진짜 대학에 가서 대학 교육을 받을 수 있을지 그런 수준인지 (걱정을 하고) 중하위권 학생들 같은 경우에는 이제 시험 안 쳐? 그러면 좋다. 그래서 학습 동기 부여를 상실한 (어려움을 겪는다)"

그런데 시험을 안 치고 어떻게 대학입시를 치릅니까? 

인터뷰: 정원민 / 글로벌 리포터

"학교 교사가 학생들에 대해서 정성적인 평가를 하는 점수가 있고요. 시험을 통한 정량적인 평가를 하는 두 개의 점수가 졸업장에 기재가 됩니다. 그런데 이제 무시험을 통해서 정량평가 점수가 사라진 상황이고요"

우리로 따지면 전부 내신점수로 대학을 갔다는 건데, 교사들이 매긴 점수가 엄청나게 부풀려졌으니 공정성 논란이 컸을 것 같은데요? 

인터뷰: 정원민 / 글로벌 리포터

"한국만큼 많이 대학을 진학하는 것도 아니고 블루칼라 직업들을 해도 충분히 많은 소득을 올리고 충분히 중산층 이상의 삶을 살 수 있기 때문에 그 부분(무시험)에 대해서는 크게 논란이 없었던 거 같습니다"

대학진학률이 40퍼센트도 안 된다는 노르웨이, 그래서인지 코로나로 피해본 학생들을 어떻게 지원할지가 관심사였다고요? 

인터뷰: 정원민 / 글로벌 리포터

"(오히려) 추가적으로 무상교육 기회를 부여해 줘야 된다. 왜냐면 이 학생들이 제대로 교육을 받지 못했으니까. 그 부분이 이제 노르웨이에서 논란이었고..."

시험 안 치고 졸업한 노르웨이 학생들, 국가지원금을 받으며 적성 탐색기간을 갖는다는군요. 

인터뷰: 정원민 / 글로벌 리포터

"시민 학교라는 곳이 있는데요. 1년 동안 자기가 배우고 싶은 걸 다 배우는 곳입니다. 뭐 승마를 배울 수도 있고 패러글라이딩을 배울 수도 있고 교육 비용도 노르웨이 정부가 많이 또 지원을 해주고요"

같은 코로나 시대지만 대한민국 청춘과 노르웨이 청춘, 격차가 크게 느껴집니다. 글로벌 커넥트 ON이었습니다. 

Copyright © EB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