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주변국 반발 대놓고 무시..오염수 대한 우려를 '뜬소문'으로 평가 절하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후쿠시마(福島) 원전 사고로 발생한 방사성 물질 오염수의 해양 방출을 결정한 일본 정부가 인접 국가의 우려에 충분히 귀를 기울이지 않고 무시로 일관하는 자세를 취하고 있다.
고케쓰 미치요(纐纈美千世) 일본소비자연맹 사무국장은 일본 정부가 해양 방출에 반대하는 어업종사자 등의 목소리를 무시하고 무리한 결정을 했다며 "방사성 물질은 식품 연쇄의 과정에서 농축된다. 소비자에게 있어서 음식의 안전성으로 이어지는 중요한 문제"라고 말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오염수를 '처리수'로 이름 바꿔 사안의 심각성 '물타기'
[헤럴드경제=신동윤 기자] 후쿠시마(福島) 원전 사고로 발생한 방사성 물질 오염수의 해양 방출을 결정한 일본 정부가 인접 국가의 우려에 충분히 귀를 기울이지 않고 무시로 일관하는 자세를 취하고 있다.
자국 내 반발은 ‘배상’을 명시하는 등 적극적으로 달래는 것과 대조적인 모습이다.
일본 정부가 13일 오염수 해양 방출 구상을 담아 결정한 기본 방침에서 이런 태도가 엿보인다.
가장 눈에 띄는 것은 오염수 배출로 생기는 인체나 환경에 대한 우려를 ‘후효(風評·풍평)’이라고 규정한 점이다.
풍평은 풍문이나 소문 등을 의미하는 일본어다.
오염수 배출을 계기로 자국 수산업이나 관광산업이 받을 수 있는 타격을 후효 피해, 후효 영향 등이라고 기술한 것이다.
후쿠시마 일대에서 생산된 수산물 등 식품의 구매를 꺼리는 경향 등에 대해 근거가 불명확한 정보로 인해 산업계가 애꿎은 피해를 보고 있다는 시각에서 접근한 셈이다.
건강에 대한 국내외 소비자의 우려와 불안을 과학적이지 못한 태도로 평가절하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국가 기간산업인 원전을 제대로 관리하지 못해 사고가 발생한 책임이 일본 측에 있으며, 이로 인해 직·간접적인 영향을 받게 될 당사자들과 충분히 소통하지 못해 이런 불안이 가중된 점을 고려하면 후효라는 표현은 매우 일방적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일본 내부에서조차 일본 정부가 성급한 결정이 내렸다는 비판의 목소리가 나온다.
고야마 료타(小山良太) 후쿠시마대 교수(농업경제학)는 “해양 방출은 약 30년이나 걸리며 국민의 합의 형성이 필수다. 하지만 정부는 국민이나 지역 어업 종사자에 대한 설명을 다 하지 않았고 (해양 배출) 방침 결정은 시기상조”라고 교도통신에 의견을 밝혔다.
그는 “바다에서는 방사성 물질이 표류하기 때문에 정확한 모니터링이 곤란하다는 과제도 있다”고 지적했다.
고케쓰 미치요(纐纈美千世) 일본소비자연맹 사무국장은 일본 정부가 해양 방출에 반대하는 어업종사자 등의 목소리를 무시하고 무리한 결정을 했다며 “방사성 물질은 식품 연쇄의 과정에서 농축된다. 소비자에게 있어서 음식의 안전성으로 이어지는 중요한 문제”라고 말했다.
일본 정부는 어업계를 중심을 확산한 국내 발발을 의식해 도쿄전력이 피해를 배상하게 한다는 구상을 방침에 끼워 넣었다.
하지만 오염수 배출로 인해 직·간접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는 한국이나 중국 등 인접 국가와 관련한 조치는 이번 방침에 포함하지 않았다.
후쿠시마산 식품 등의 수출 확대를 꾀하면서도 이와 관련한 우려나 일본의 일방적인 결정으로 인해 타국 소비자들이 느끼는 불안을 배려한 대응책을 내놓지 않은 셈이다.
한국은 후쿠시마(福島) 등 일본 8개 현의 수산물 수입을 금지한 상태이기는 하지만 일본의 해양 방류 결정이 한국 수산업이나 한국 소비자들의 식생활에도 직·간접적인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다.
일본 정부와 도쿄전력이 폐로(廢爐) 작업에 속도를 내기 위해 사안의 심각성에 물타기를 했다는 의구심도 남는다.
예를 들면 오염수를 ‘처리수’라고 바꿔서 표기하고 있다.
일본 정부도 과거에는 사고 원전에서 나오는 방사성 물질이 포함된 물을 오염수라고 불렀다.
오염수 문제가 과제로 부상한 2013년에는 ‘폐로·오염수 대책 등 관계 각료회의’를 발족하는 등 오염수라는 표현을 공식적으로 사용했으나 근래에는 다핵종(多核種)제거설비(ALPS) 등으로 거른 물을 처리수라고 부르고 있다.
이런 영향 때문인지 일본 언론도 오염수라는 표현을 잘 사용하지 않고 처리수라고 부르고 있다.
하지만 처리수에는 삼중수소나 탄소14와 같은 방사성 원소가 포함돼 있으며 이들 물질은 걸러지지 않은 채 바다로 배출될 전망이다.
realbighead@heraldcorp.com
- Copyrights ⓒ 헤럴드경제 & herald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강아지 산책 시켜드려요. 나쁜 사람 아님” 당근마켓에 등장한 못말리는…
- 윤미향, 세월호로 프로필 사진 교체… “제 책임을 확인하기 위해”
- “80만원 날렸는데 누가 보상합니까?” 쿠팡이츠 ‘먹통’에 사장님 하소연
- 윤여정 “오스카 시상식 참석하고 싶은데 아들이 증오범죄 걱정”
- “중국 비빔밥으로 혼나더니…” ‘중국 PPL’ 논란 빈센조 반전?
- ‘김어준 TBS 퇴출’ 靑청원 20만명 돌파…‘뉴스공장’ 운명은?
- 벌써 등장한 삼성 야심작 ‘갤럭시S22’…이런 모습? [IT선빵!]
- “오토바이가 시끄러워!” 배달 음식 별점 깎는 황당 이유 ‘천태만상’
- [단독] “강동 ‘택배 대란’ 아파트 폭발물 설치”…경찰·소방 출동
- 문 정부 부동산, ‘나쁜 정책, 나쁜 결과’ [부동산3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