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소연 피씨엘 대표 "모로코 공장 설립, 아프리카·유럽 점유율 확대 확신"

김유림 2021. 4. 13. 08:01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모로코 공장 생산 진단키트, 아프리카 세금면제
냉장, 냉동 유통 제품..유럽 공급 '가격 경쟁력'
파키스탄 등 세계 각국 공장 세군데 더 짓는다

[이데일리 김유림 기자] “국내 최초로 유럽과 아프리카, 중동을 잇는 지리적 요충지 모로코에 공장 준공을 완료했다. 코로나19 진단키트 현지 생산을 위해 한국 본사 직원들이 지금도 분주하게 움직이고 있다.”

(왼쪽부터)기가랩 최고경영자 Karim Zaher, 피씨엘 김소연 대표, 모로코 산업부 장관 Moulay Hafid Elalamy. [사진=피씨엘]

피씨엘(241820) 김소연 대표는 12일 이데일리와의 인터뷰에서 “모로코 공장 설립을 발판으로 시간적, 거리적 제약을 극복, 전 세계에 더욱 신속한 진단키트 대량 공급이 가능하게 됐다”며 이같이 밝혔다.

아프리카에 위치한 모로코는 인구 3700만명 규모의 나라로 지브롤터 해협을 사이에 두고 스페인과 마주하고 있다. 경제 수도 카사블랑카와 아프리카 최대 컨테이너 항구인 탕헤르를 잇는 아프리카 최초 고속철도가 개통됐다. 이 고속철은 유럽-아프리카-중동 시장을 잇는 교두보 역할을 한다.

김 대표는 “모로코에서 스페인은 자동차로 1시간 내 이동 가능하며, 미국, 캐나다는 7~8시간 거리의 대서양에 위치하고 있다. 아랍과도 밀접해 있어 글로벌 공급에 매우 유리한 입지를 가지고 있다”며 “피씨엘은 이런 모로코의 전략적 요충지로서의 입지를 십분 활용하기 위해 이곳에 생산 기지를 세운 것”이라고 설명했다.

지난주 김 대표는 모로코를 방문해 모로코 내 여러 유력 인사들을 만나 K바이오 진단키트에 대해 긴밀한 협의를 했다. 산업부 장관을 만나 피씨엘의 보유 기술, 고위험 감염병 진단을 위한 다양한 제품을 소개하는 등 진단키트 사업 논의를 이어갔다. 모하메드 6세 보건과학대학교(UM6SS) 총장과는 UM6SS 병원의 발전을 이끌어줄 혁신적인 한국 의료기기를 제공하는 것과 관련한 얘기를 나눴다.

특히 김 대표는 의학생물학 장비 및 시약 유통 전문 모로코 기업 기가랩(GIGALAB)에 기술이전과 생산 이관을 성공적으로 마치고 돌아왔다. 한국에서 생산한 고품질과 동일한 품질의 진단키트 제품을 모로코 공장에서 생산하게 된다.

피씨엘은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모로코에서 진단키트 독점판매를 하게 된다. 당장 다음 달부터 코로나19 진단키트(RT-PCR, 항원, 항체진단키트) 모로코 단독 물량을 월 20만개씩 생산한다. 앞으로 모로코 공장에서 만드는 진단키트를 아프리카, 아랍 모든 국가에 공급하면 생산량은 더 늘어날 예정이다.

그는 “모로코 정부 지원을 받아 모로코에서는 피씨엘 진단키트 독점 판매권을 확보했다. 싼 인건비와 세금 면제까지 가격 경쟁력을 통해 아프리카와 아랍의 점유율 확대를 자신한다”며 “아프리카와 아랍은 외국산 의료기기가 들어갈 때 19% 세금이 있는데, 모로코 공장 물량은 면세로 공급하게 된다”고 말했다.

최근 진단키트의 5~7달러 공급가를 통해 추정해보면 올해만 모로코 공장에서 200억원 규모의 매출이 발생할 것으로 분석된다. 피씨엘은 모로코 기가랩에 기술이전, 생산 이관을 하면서 계약금(upfront fee)과 일정 수준의 런닝로열티를 받는 구조이며, 원재료공급도 하게 된다. 구체적인 계약금액 조건은 공개되지 않았다.

피씨엘은 모로코 공장을 시작으로 올해 파키스탄 포함 글로벌 공장 3곳을 더 건립할 예정이다. 앞서 지난달 피씨엘은 파키스탄에서 ‘PCL COVID19 Ag Gold’ 코로나19 항원진단키트의 약국판매와 자가사용인증 모두 국내 최초로 획득했다. 파키스탄의 인구는 2억2500만명에 육박하며, 세계 5위다. 일반 의료기기 판매점, 마트 등 파키스탄 곳곳에 피씨엘 제품을 공급한다.

‘PCL COVID19 Ag Gold’는 면봉이 아닌 타액(침)으로 코로나 감염여부를 진단할 수 있다. 민감도는 94%, 특이성 99%다. 추가 장비가 필요 없으며, 10분 만에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임신진단 테스트기처럼 양성일 경우 두 줄이 나타난다.

파키스탄 전체 인구의 5% 수준인 1100만개를 공급한다는 가정하에 약 600억원의 매출 발생을 추정할 수 있다. 파키스탄은 한국에서 직접 공급이 이뤄지며, 현지 공장이 확보되면 향후 모로코와 같은 기술이전 및 생산 이관 형태가 될 전망이다.

김 대표는 “올해 모로코 공장은 코로나 진단키트 생산에 집중하고, 내년에는 혈액진단제품과 암진단제품도 아프리카 전역에 공급하게 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유럽에는 냉동과 냉장보관이 필요한 제품을 모로코에서 생산한 후 공급하면 가격경쟁력을 기반으로 시장 점유율 확대가 이어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모로코의 지리적인 위치는 전략적 요충지가 될 수 있으며, 피씨엘에게 한 단계 도약할 수 있는 기회를 줄 수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지난해 피씨엘은 코로나19 진단키트 수혜에 힘입어 전년 대비 15000% 급증한 매출 536억원을 기록했다.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각각 256억원, 195억원으로 흑자전환했다.

김유림 (urim@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