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집콕에 4인 가구는 TV를, 1인 가구는 악기를 샀다

이명철 2021. 4. 13. 00:0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코로나19로 경기 침체를 겪은 지난해 1인가구와 다인가구간 소비 지출 양극화가 두드러졌다.

상대적으로 소득이 높은 다인가구의 경우 취미생활에 대한 씀씀이가 늘어난 반면 1인가구는 마스크 등 실생활에 필요한 분야에 지출이 집중됐다.

코로나19에 따른 경기 악화로 1인가구를 비롯해 저소득층 등의 소비가 위축될 수 있는 만큼 선별적인 정책 지원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상대적으로 소득이 낮은 1인가구가 코로나19 사태로 살림살이 팍팍해지자 자동차·자전거 등 관련 지출을 크게 줄였다는 얘기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코로나19로 소비지출 양극화, 1인가구 7.4% 최고 감소폭
4인가구, 사진기·TV·이미용기기 등 취미 관련 품목 지출↑
자동차 구입비, 4인가구 33.0% 늘고 1인가구 70.4% 줄어

[세종=이데일리 이명철 기자] 코로나19로 경기 침체를 겪은 지난해 1인가구와 다인가구간 소비 지출 양극화가 두드러졌다. 상대적으로 소득이 높은 다인가구의 경우 취미생활에 대한 씀씀이가 늘어난 반면 1인가구는 마스크 등 실생활에 필요한 분야에 지출이 집중됐다. 코로나19에 따른 경기 악화로 1인가구를 비롯해 저소득층 등의 소비가 위축될 수 있는 만큼 선별적인 정책 지원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사진=이미지투데이)
12일 통계청의 2020년 연간 지출 가계동향지수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가구당 월평균 소비지출은 약 240만원으로 전년대비 2.3% 감소했다.

가구원수로 보면 1인가구는 7.4% 줄어 전체 가구 중 감소폭이 가장 컸다. 3인가구는 1.0% 증가했고 2인가구(-1.6%), 4인가구(-0.7%), 5인 이상 가구(-2.5%)도 감소폭이 평균 수준이거나 밑돌았다.

1인가구 소비지출 감소폭이 두드러진 분야는 교통(12만4910원)이다. 같은기간 33.0% 급감해 평균치(-2.4%)를 크게 밑돌았다.

자동차(1만9000원)와 자전거 등 기타운송기구(735원) 구입이 각각 70.4%, 45.2% 감소한 영향이다. 상대적으로 소득이 낮은 1인가구가 코로나19 사태로 살림살이 팍팍해지자 자동차·자전거 등 관련 지출을 크게 줄였다는 얘기다.

반면 4인가구는 자동차 구입비(19만1000원)가 1년새 54.3% 늘었다. 2인가구(34.7%)와 3인가구(32.6%)도 30%대 증가했다. 감염병 우려가 커지자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대신 차를 샀다는 얘기다. 개별소비세 인하 등 소비 진작책도 영향을 줬다.

주요 품목별로 보면 1~4인가구 모두 의료용소모품이 전년대비 가장 큰 증가폭을 기록했다. 1인가구는 277.6%, 2인가구 246.0% 급증했고 3인가구(149.0%), 4인가구(143.5%) 두배 이상 늘었다. 마스크와 손소독제 같은 방역제품 구매가 급증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이미지=통계청)
의료용소모품을 제외하면 가구원수별 지출에는 다소 차이가 나타난다. 4인가구를 기준으로 했을 때 주식·중개수수료 등을 포함한 기타금융(673원)은 1년 새 89.2% 급증했다. 지난해 주식과 부동산 거래가 크게 늘면서 관련 수수료 지출이 증가한 때문이다.

4인가구는 사진기 등 사진광학장비(84.0%), TV·오디오 등 영상음향기기(81.6%), 이미용기기(71.9%) 같은 취미·취향과 관련한 지출이 급증한 것도 특징이다. 집안에 거주하는 시간이 길어진 영향으로 풀이된다.

반면 1인가구는 악기기구(134.0%)를 제외하면 컴퓨터 등 정보처리장치(66.7%), 가구·조명 및 장식서비스(56.)%, 외장하드 등 기록매체(31.6%) 등 실생활과 관련한 품목 지출 증가폭이 컸다. 사진광학장비(-61.0%), 이미용기기(-26.1%), 영상음향기기(-3.8%) 등은 모두 감소했다.

시계 및 장신구의 경우 4인가구는 37.4% 증가했지만 1인가구는 9.1% 감소했다. 4인가구는 커피·차와 화훼·애완서비스 지출이 각각 21.4%, 19.5% 늘어난 반면 1인가구는 각각 3.8%, 5.1% 줄었다. 담배 지출도 4인가구는 15.3% 늘었고 1인가구는 11.3% 감소했다. 팍팍한 생활에 취미와 기호식품에 대한 지출도 줄이고 있는 셈이다.

소득 수준별로는 지출 추이가 다소 엇갈리는 모습이다. 소득 상위 10%(10분위)의 지난해 소비지출은 약 469만9000원으로 전년대비 3.6% 감소한 반면 소득 하위 10%(1분위)는 91만원으로 오히려 4.2% 증가했다. 이는 지난해 정부의 선별 재난지원금 지급 등 이전소득이 늘면서 저소득층의 소비 지출에도 영향을 줬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이데일리 김정훈 기자]

이명철 (twomc@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