丁총리 "美·英과 소통해 이란핵합의 측면 지원"

안정훈,신혜림 2021. 4. 12. 17:39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란서 수석부통령과 회담
선장억류 재발방지 요구
경제협력 점검협의체 합의
백신개발 협력 등 제안
이란 "동결자금 풀어달라"
이란을 방문 중인 정세균 국무총리(왼쪽)가 11일(현지시간) 테헤란에 위치한 사드아바드 좀후리궁에서 에스하그 자항기리 수석부통령과 회담을 하고 있다. 대한민국 총리가 이란을 방문한 것은 44년 만이다. [사진 = 연합뉴스]
동결자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란 순방에 나선 정세균 국무총리가 11일(현지시간) "이란 핵합의(JCPOA)와 관련해 당사국 간 건설적 대화가 진전되는 것을 측면 지원할 용의가 있다"고 말했다. 이란 핵합의 복원이 해금 조치의 열쇠인 만큼 미국·영국 등 합의 당사국들과 적극 소통하겠다는 의지를 밝힌 것으로 해석된다.

정 총리는 이날 에스하그 자항기리 이란 수석부통령과 회담한 뒤 열린 공동기자회견에서 이같이 말하며 "이란을 포함한 관련국과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미국의 대이란 제재로 현재 국내 은행에는 이란의 원유 결제대금 70억달러(약 7조7000억원)가량이 동결돼 있다. 미국은 이란이 핵합의에 복귀하고 우라늄 농축을 중단해야만 해당 자금을 풀어줄 수 있다는 방침인 것으로 전해진다.

정 총리는 이란에 제약사 간 백신 개발 협력 강화, 의약품·의료기기 교역 확대 등 방안을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 핵합의 복원 시 바로 경제협력에 나설 수 있도록 '경제협력 점검협의체'를 설치해 협력 대상 사업을 미리 발굴하기로 했다.

아울러 정 총리는 이란이 95일간 선박과 선장을 억류해뒀던 '한국케미호' 사건에 대해 "항행의 자유가 보장돼야 한다"며 재발 방지를 당부했다. 이 사건 배경에는 이란 정부의 동결자금 관련 불만이 있는 것으로 추정됐다.

자항기리 부통령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동결자산 문제로 이란인 사이에서 한국에 대한 이미지도 손상됐다"며 "한국 정부는 한국 내 이란의 동결자산을 최대한 빨리 해제하고 최근 몇 년간 야기된 문제들을 만회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행정부가 2018년 일방적으로 복원한 대이란 제재를 한국이 따르면서 이란과의 관계 악화를 초래했다는 주장이다.

자항기리 부통령은 특히 코로나19 확산 속에 이란인들이 고통받는 상황에서 한국이 자금을 동결해 의료장비, 약품, 생활필수품 수급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덧붙였다.

[안정훈 기자 / 신혜림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