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이더리움 거래 작명권 NFT, 1억6,000만원에 낙찰

김현진 기자 stari@sedaily.com 2021. 4. 12. 17:3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내 가상화폐 거래소에서 처음으로 이뤄진 비트코인·이더리움의 거래에 이름을 붙일 수 있는 권리가 총 1억6,000만원에 팔렸다.

국내에 최초로 설립된 가상화폐 거래소 코빗은 지난주 국내 첫 비트코인·이더리움 거래 작명권을 NFT(대체불가능토큰)로 만들어 경매에 부친 결과, 두 NFT 작품이 총 59이더리움(약 1억6천만원)에 낙찰됐다고 12일 밝혔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경제]

국내 가상화폐 거래소에서 처음으로 이뤄진 비트코인·이더리움의 거래에 이름을 붙일 수 있는 권리가 총 1억6,000만원에 팔렸다.

국내에 최초로 설립된 가상화폐 거래소 코빗은 지난주 국내 첫 비트코인·이더리움 거래 작명권을 NFT(대체불가능토큰)로 만들어 경매에 부친 결과, 두 NFT 작품이 총 59이더리움(약 1억6천만원)에 낙찰됐다고 12일 밝혔다.

코빗은 앞서 활동명 노네임드(Nonamed)를 쓰는 NFT 작가와 협업해 총 2점의 작품을 제작했고, 이달 8일 NFT 경매 플랫폼인 '파운데이션'에 등록했다. 최종 낙찰 가격은 비트코인 거래 작명권이 24이더리움(약 6,500만원), 이더리움 작명권이 35이더리움(약 9,500만원)이었다.

두 작품은 모두 동일인(파운데이션 등록명 '@3fmusic')이 낙찰받았다. 그는 지난달 뉴욕타임스 기술 분야 칼럼니스트인 케빈 루스가 쓴 '블록체인으로 이 칼럼을 사세요'(Buy This Column on the Blockchain!)라는 제목이 붙은 뉴욕타임스 최초 NFT 칼럼을 350이더리움(당시 6억3,000만원)에 낙찰받기도 했다. 현재 NFT 작품을 200개 이상 소유하고 있다. 코빗은 낙찰자와 연락해 국내 최초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거래 이름을 확인한 뒤 향후 이를 이미지로 만들어 코빗 홈페이지에 공개할 예정이다.

국내에서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이 거래된 일시는 각각 2013년 9월 3일 오전 6시 31분, 2016년 3월 25일 오후 4시 21분이다. 작명권을 가지면 예를 들어 'BTC 201309030631'이라는 이름을 이 거래에 붙일 수 있다.

코빗은 경매 수익금 전액을 서울 마포구에 있는 푸르메재단 넥슨어린이재활병원에 기부한다. 기부금은 장애 어린이들의 특수검사, 재활치료 등에 쓰인다.

/김현진 기자 stari@sedaily.com

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