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로 등교 중지..아동·청소년 '확찐자' 늘었다

이지원 2021. 4. 12. 14:0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학령기 아동•청소년들의 비만 관련 지표가 코로나19로 인한 등교 중지 이전보다 모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서울병원 소아청소년과 최연호 •김미진 교수, 김은실 임상강사 연구팀은 비만을 진단받고, 2019년 12월부터 2020년 5월 사이 최소 두 차례 이상 병원을 방문한 만 6세에서 18세 사이 학생 90명을 대상으로 체중을 비롯해 비만 관련 지표들을 검사해 차이를 비교했다.

공복혈당은 물론 간수치들도 등교 중지 이전 보다 모두 늘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사진=KanKhem/gettyimagebank]

학령기 아동•청소년들의 비만 관련 지표가 코로나19로 인한 등교 중지 이전보다 모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서울병원 소아청소년과 최연호 •김미진 교수, 김은실 임상강사 연구팀은 비만을 진단받고, 2019년 12월부터 2020년 5월 사이 최소 두 차례 이상 병원을 방문한 만 6세에서 18세 사이 학생 90명을 대상으로 체중을 비롯해 비만 관련 지표들을 검사해 차이를 비교했다.

연구 참여 학생들의 평균 나이는 12.2세로, 남학생이 70명으로 77.8%를 차지했다. 이들의 평균 몸무게는 67.2kg으로 BMI는 26.7 kg/㎡였다.

넉 달 간격으로 조사한 결과 평균 체중의 경우 71.1kg으로 4kg 가량 증가했을 뿐 아니라 BMI을 측정했을 때에도 앞서 보다 증가해 27.7kg/㎡로 나타났다. 성장기란 점을 감안하더라도 모두 정상 범위 밖이다.

대사증후군의 지표들 역시 함께 뛰었다. 총콜레스테롤의 경우 160.3㎎/㎗에서 169.5㎎/㎗으로 올랐다. 중성 지방의 경우 126.7㎎/㎗에서 160.6㎎/㎗으로 큰 차이를 보였다. 공복혈당은 물론 간수치들도 등교 중지 이전 보다 모두 늘었다.

특히 비알코올성 지방간 진단을 받았던 53명은 당화혈색소가 5.6%에서 6.9%로 상승했다. 비알코올성 지방간을 진단 받지 않았던 나머지 37명에게서는 당화혈색소 수치의 차이가 없던 것과 비교하면 뚜렷한 대조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에 대해 연구팀은 등교 중지 이후 바깥 활동은 현저하게 줄어든 반면 식습관을 평소 생활방식을 그대로 유지한 탓으로 풀이했다.

김미진 교수는 "코로나19로 힘든 일이 많다 보니 소아비만을 일시적 현상으로 여기고 간과하기 쉽다" 면서 "대사성질환이 동반될 경우 장기적으로 건강 문제를 일으키는 만큼 주의해야 한다"고 전했다.

한편, 이번 논문은 사이언티픽 리포츠(Scientific Reports) 최근호에 게재됐다.

이지원 기자 (ljw316@kormedi.com)

Copyright © 코메디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