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면 무호흡증 노인, 양압기 치료 시 치매 위험 줄어"

이승구 2021. 4. 12. 14:0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Obstructive Sleep Apnea‧OSA)에 걸린 노인이 양압기 치료를 받으면 치매 위험을 낮추는 데 도움이 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연구팀은 양압기 치료를 받은 OSA 노인은 받지 않은 노인보다 향후 3년 동안 치매나 치매의 전 단계인 경도인지장애(Mld Cognitive Impairment‧MCI) 진단을 받을 위험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미국 연구팀 "수면 무호흡증, 신경 장애나 심혈관 질환 위험 높여"
"'양압기 치료' 받은 노인, 받지 않은 노인보다 치매 가능성 줄어"
한 수면무호흡증 환자가 상기도양압기 치료를 받고 있다.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Obstructive Sleep Apnea‧OSA)에 걸린 노인이 양압기 치료를 받으면 치매 위험을 낮추는 데 도움이 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OSA는 코를 골고 자면서 자주 호흡이 끊기는 증상을 말하며,  양압기란 수면 중 상기도 조직의 이완으로 좁아지거나 막힌 기도에 공기를 지속적으로 불어 호흡이 계속되게 도와주는 기기이다.

10일 미국 과학진흥협회(AAAS)의 과학 뉴스 사이트 유레크얼러트(EurekAlert)의 보도에 따르면 미국 미시간대학 의대 수면 장애센터(Sleep Disorders Center)의 신경과 전문의 티파니 브랠리 교수 연구팀은 메디케어(Medicare: 65세 이상 노인 공공건강보험)의 OSA 노인 5만여 명의 의료기록을 분석한 결과 이같은 사실을 밝혀냈다.

연구팀은 양압기 치료를 받은 OSA 노인은 받지 않은 노인보다 향후 3년 동안 치매나 치매의 전 단계인 경도인지장애(Mld Cognitive Impairment‧MCI) 진단을 받을 위험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는 양압기 치료가 OSA와 관련된 치매 위험을 낮추는 데 도움이 된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OSA와 치매 위험 사이에 연관이 있다는 연구 결과들은 적지 않다. 

OSA는 밤중에 잠을 자는 동안 상기도가 주저앉아 정상적인 호흡을 막는 현상으로 여러 형태의 신경 장애 또는 심혈관 질환 위험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연구 결과는 미국 수면장애 학회(American Sleep Disorders Association) 학술지 '수면'(SLEEP) 최신호에 발표됐다.

이승구 온라인 뉴스 기자 lee_owl@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