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속 낚시용품 특허출원 늘어..비대면 활동 선호로

유의주 2021. 4. 12. 09:1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유행 속에 비대면 활동을 즐기려는 심리 등으로 낚시의 인기가 높아지고 있다.

12일 특허청에 따르면 낚시용품 관련 특허출원은 2011∼2017년 연평균 300건 미만이었지만 2018년 303건, 2019년 332건, 지난해 382건으로 꾸준히 늘었다.

국내 개인 출원은 2017년 155건에서 지난해 282건으로 81.9% 늘어, 전체 낚시용품 특허출원 상승률을 견인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011∼2017년 평균 300건 미만서 작년 382건으로 ↑
낚시 [연합뉴스 자료사진]

(대전=연합뉴스) 유의주 기자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유행 속에 비대면 활동을 즐기려는 심리 등으로 낚시의 인기가 높아지고 있다.

12일 특허청에 따르면 낚시용품 관련 특허출원은 2011∼2017년 연평균 300건 미만이었지만 2018년 303건, 2019년 332건, 지난해 382건으로 꾸준히 늘었다.

특허출원 건수 [특허청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2018∼2019년에는 낚시 예능 프로그램 인기가, 지난해에는 코로나19로 인해 비대면 스포츠라는 점이 출원 증가의 주요 원인으로 보인다.

기술 분야별 출원 건수(2011∼2020년)는 낚시채비가 1천235건으로 가장 많고, 낚시 릴 531건, 부속 장비 462건, 받침 도구 410건, 낚싯대 227건, 게임·완구 85건 순이었다.

자동 챔질·흔들기, 원격 제어, 스마트폰과 연동돼 입질을 감지하는 낚시 장치 등 자동·지능형 낚시용품도 102건 출원됐다. 간편하게 낚시를 즐기려는 욕구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출원인별 비중은 국내 개인 67.8%, 외국기업 16.9%, 국내 기업 13.0%, 국내 대학·연구기관 1.8%, 외국 개인 0.5% 순으로 나타났다.

국내 개인 출원은 2017년 155건에서 지난해 282건으로 81.9% 늘어, 전체 낚시용품 특허출원 상승률을 견인했다.

특허청 식품생물자원심사과 이윤아 심사관은 "관련 분야 지식재산의 기술이전이나 사업화 촉진으로 낚시용품 산업 경쟁력이 강화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yej@yna.co.kr

☞ 윤여정 '고상한 체하는 영국인' 농담으로 시상식 휘어잡다
☞ "돌아가서 개나 먹어"…손흥민, 맨유전 뒤 인종차별 피해
☞ 김정현, 서지혜와 열애설 이어 전속계약 분쟁…진실은
☞ '멍청한 X자식'…'뒤끝' 트럼프 "부인 장관도 시켜줬는데"
☞ "돈 노렸지?"…혼인 한 달 만에 아내 잔혹 살해한 남편
☞ 북한 퍼스트레이디 리설주 얼굴, 과거와 달라졌다?
☞ 퇴직금 굴려 투자한다는데…노후준비는 이렇게?
☞ 감속 않은 카트서 떨어져 사지마비된 골퍼…운전한 캐디는
☞ "영국 여왕 '남편 죽음으로 큰 구멍이 생겼다'"
☞ 김종인, 안철수에게 유독 싸늘한 이유 물었더니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