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제국 어둠 밝혔던 궁중잔치.. 객석의 내가 황제로소이다

허백윤 2021. 4. 12. 05:0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1902년 4월 어느 날 밤 경운궁(현 덕수궁) 함녕전에서 열린 잔치가 국립국악원 무대에서 재현됐다.

국립국악원이 개원 70주년을 기념해 지난 9일부터 14일까지 국립국악원 예악당에서 선보이는 '야진연'(夜進宴)은 고종이 기로소(耆老所)에 입소하게 된 것을 축하하는 진연 중 밤에 열었던 잔치를 재해석했다.

무대에서는 국립국악원이 소장한 '임인진연도병'(임인년에 열린 진연을 그린 병풍) 10폭 가운데 8폭에 담긴 밤에 올려진 잔치 모습을 재현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국립국악원 개원 70주년 '야진연'

119년 전 고종 ‘기로소’ 입소 축하
덕수궁 함녕전서 열린 잔치 재현
임금 장수 기원 궁중예술의 백미
LED로 밤하늘 표현 화려함 더해

국립국악원이 개원 70주년 기념 대표공연으로 14일까지 선보이는 ‘야진연’ 공연 중 ‘제수창’. 임금의 덕이 높아 상제께서 장수로 보답해 창성하게 한다는 내용의 구호를 담았다.국립국악원 제공

1902년 4월 어느 날 밤 경운궁(현 덕수궁) 함녕전에서 열린 잔치가 국립국악원 무대에서 재현됐다. 혼란스러웠던 대한제국 시절이지만 궁중무용과 음악의 향연을 즐기며 달빛과 별빛으로 물들었던 그때를 영상과 함께 판타지처럼 풀어낸다.

국립국악원이 개원 70주년을 기념해 지난 9일부터 14일까지 국립국악원 예악당에서 선보이는 ‘야진연’(夜進宴)은 고종이 기로소(耆老所)에 입소하게 된 것을 축하하는 진연 중 밤에 열었던 잔치를 재해석했다. 기로소는 조선시대 고위 문신들을 예우하기 위해 설치한 기구다. 당시 조정 원로들에게 기로소 입소는 영예로운 일이었고, 조선시대 임금 중에서도 태조와 영조, 숙종, 고종만 들어갔다.

119년 전 고종의 기로소 입소를 축하하는 뜻을 담아 황태자(순종)와 백관들이 ‘외진연’(外進宴)을 열었고 다음날 왕실 가족과 친인척, 명부가 참석해 ‘내진연’(內進宴)을, 그리고 그날 밤 해시(亥時·오후 9~11시)에는 황태자가 황제에게 ‘야진연’을 올렸다.

‘야진연’이 재현한 10폭 병풍 ‘임인진연도병’ 중 8폭에 담긴 잔치 모습. 국립국악원 제공

무대에서는 국립국악원이 소장한 ‘임인진연도병’(임인년에 열린 진연을 그린 병풍) 10폭 가운데 8폭에 담긴 밤에 올려진 잔치 모습을 재현했다. 야진연에서 선보였던 궁중무용 12종목 가운데 6종목인 제수창, 장생보연지무, 쌍춘앵전, 헌선도, 학연화대무, 선유락이 펼쳐지고, 정동방곡, 여민락, 수제천, 해령 등 대표 궁중음악도 곳곳에 담겼다.

‘야진연’에선 고운 의상과 절제의 멋이 담긴 정재와 음악까지 궁중예술의 백미를 볼 수 있다.국립국악원 제공

무대에선 기로소를 무릉도원으로 표현해 고종이 이상세계를 향해 한 걸음씩 나아가는 것으로 잔치가 시작된다. 임금의 덕이 높아 상제께서 장수로 보답해 창성하게 한다는 내용의 구호를 가진 ‘제수창’과 백성들과 함께 즐거움을 나누고자 했던 ‘여민락’, 하늘처럼 영원한 생명이 깃들기를 바라는 마음을 담은 ‘수제천’, 새롭고 힘찬 발걸음의 시작을 알리는 ‘대취타’, 윤선도의 ‘어부사’를 부르며 배 주위를 둘러서서 춤을 추는 ‘선유락’ 등 색색의 고운 의상과 절제의 아름다움이 돋보이는 정재, 멋스러운 음악까지 궁중예술의 백미를 맛볼 수 있다. 특히 은하수 놓은 밤하늘을 다양하게 그려내는 무대가 신비감을 더한다. 무대미술과 무대 영상디자인 전문가로 활동하는 조수현 감독이 첫 연출을 맡아 전통의 원형을 최대한 살리고, LED 스크린으로 둘러싼 무대는 첨단 기술로 화려한 색채를 더했다. 공연 말미에는 앞서 고종이 향했던 계단을 순종이 바라본다. 아버지의 평안을 기원하면서 그 길을 따른다는 의미를 담았다고 조 감독은 전했다.

서인화 국립국악원 국악연구실장은 “내년이 임인년이기도 하고 대한제국 이후 격변했던 시기에 궁중에서 열린 진연을 이 시대에 돌아보는 것도 의미 있다고 생각했다”면서 “어려운 역사 속에서도 묵묵히 버텨 온 찬란한 전통 예술이 전하는 깊은 울림과 감동을 관객들과 나누고 싶다”고 밝혔다.

허백윤 기자 baikyoon@seoul.co.kr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