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금리 인상 빨라지나 ..11명 중 5명 "내년엔 올린다"

이윤화 2021. 4. 12. 05:0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4월 금통위 전망 폴.."기준금리 연내 동결" 일치
11명 중 1명만 4분기 소수의견, 금리인상 가능성
백신 보급 가속화 등에 내년 금리인상 의견 늘어
[이데일리 김정훈 기자]
[이데일리 이윤화 기자] 국내외 경제 전문가들은 오는 15일 열리는 한국은행의 금융통화위원회를 앞두고 한은이 기준금리를 7번째(11개월) 동결할 것이라데 이견이 없었다. 코로나19 불안정성이 잔존하는 가운데 고용과 실물 경기가 아직 얼어붙어 있어 연내 동결은 불가피하다는 판단이다. 다만 글로벌 경기가 빠른 속도로 회복하고 있고 가계부채 문제가 수면 위로 부상하는 등 장기간 이어진 저금리로 인한 부작용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면서 내년 상반기나 하반기 금리 인상에 나설 것으로 보는 전망이 많았다.

이데일리가 12일 국내 경제·금융전문가 1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11명 전원이 4월 금통위 금리 동결을 예상했다. 관심은 향후 금리 전망이다. 내년 인상할 것이라는 예상이 5명, 내후년인 2023년 인상 전망이 2명으로 나타났다. 연내 소수의견이 나올 가능성과 올해 4분기에 인상할 수 있다는 전망도 1명 있었다.

올해는 동결, 내년부터 인상 나설 듯

전문가들은 한은이 올해 내내 기준금리를 동결할 것으로 봤다. 금리 인상 필요성을 제기하는 소수의견도 올해 4분기에나 제기될 것으로 전망했다. 코로나19 정상화 혹은 종식의 전제조건인 집단면역 형성 시기가 명확하지 않고, 실물 경기보다는 수출 주도의 경기회복 흐름이 이어지고 있는 탓이다.

김지만 삼성증권 연구원은 “경기 정상화와 물가에 대한 기대감이 높지만 불확실성 또한 높은 상황이기 때문에 이번 금통위에서는 만장일치 금리 동결을 예상한다”고 말했다.

김지나 IBK투자증권 연구원 역시 “국내 코로나19 가 진정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고 국내 백신 투여 스케줄 실행도 이제 막 시작 단계”라며 “미국 등 글로벌 주요 국가 대비 국내 경제지표 부진도 여전한 상황”이라고 전했다.

금리 인상 시그널이 언제쯤 나올 것인가에 대해 올해 4분기부터 소수의견이 나올 것이란 전망은 1명, 내년 중 한은이 금리 인상에 나설 것이란 전망은 5명이다. 무응답은 3명이다.

내년 7월 금리 인상을 예상한 윤여삼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올해 3% 초중반 성장과 내년에도 2% 중반 이상 성장률 개선 흐름이 이어지는데다 물가도 1% 중반 이상으로 안정 범위에 진입할 경우 OECD 국가 중 3번째로 코로나19 이전 GDP수준을 회복한 한국의 금리정상화가 단행될 가능성 높다는 판단”이라면서 “2022년 대선과 한은총재 교체와 같은 정치 및 정책적 이벤트까지 고려할 때 2022년 중반은 지나야 금리인상 시행 가능할 것으로 본다”고 설명했다.

조용구 신영증권 연구원 역시 “백신효과와 집단면역 형성 가능성 등 낙관적인 상황을 가정할 때 연말 부근 정상화에 대한 논의 시작은 가능할 것으로 추정돼 실제 인상 시점은 내년 상반기(2분기)로 예상하고 있다”고 말했다.

허태오 삼성선물 연구원은 지난 2월 조사에서와 마찬가지로 연말 소수의견 가능성을 제시했고, 빠르면 연내 금리 인상을 단행할 가능성도 열어두고 있다고 전했다.

허 연구원은 “기존전망 대로 4분기 무렵부터 기준금리 인상 소수의견이 나올 수 있는 여건이 조성될 것으로 예상했고, 최근 일부 선진국(노르웨이)이 연내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을 시사하고 일부 선진국 중앙은행도 완화의 정점은 지났다고 판단하는 태도를 보이면서 한은이 4분기 기준금리를 인상할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인상 변수는?…코로나 안정화에 팬데믹 이전 수준의 경기회복

한은이 기준 금리 인상을 결정할 주요 변수는 △코로나 안정화 및 백신 보급 상황, △국내외 경기회복 상황, △글로벌 주요국 중앙은행의 통화정책 변동 여부 등 3가지가 꼽혔다.

대부분 코로나 안정화와 백신보급을 전제 조건으로 제시한 가운데 한은이 미국 연준 등 주요국 금리 정책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할 것이란 분석이다.

문홍철 DB투자증권 연구원은 “기준금리 인상을 결정하는 가장 큰 요소는 선진국 통화정책의 변화 모습일 것”이라면서 “인플레이션과 경기회복 전망에 의해서 결정될 것으로 보이나 그 시기는 매우 늦어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경기가 회복세인지를 명확히 판단하기 위해서는 단순한 수출 중심의 회복세가 아닌 팬데믹 이전 수준의 고용, 소비, 물가 등의 확실한 경제지표가 나와야 한다고 봤다.

윤여삼 연구원은 “실물경제의 안정적 회복 기조 유지, 부동산 중심 금융안정성, 물가목표인 2% 부근까지 반등 가능성 중요하다”면서 종합적인 지표가 안정권에 들어야 한다고 내다봤다.

고용회복의 중요성을 강조한 의견도 있었다. 우혜영 이베스트투자증권 연구원은 “현 상황에서는 고용 시장의 회복이 중요하다는 판단이다. 한은의 목표는 물가 안정이지만 고용 회복은 결국 소득 증가, 소비로 이어지는 등 선순환을 위한 전제조건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윤화 (akfdl34@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