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 어피메드 "이중항체 신약서 림프종 완전관해 확인"

최지원 2021. 4. 11. 17:49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암 분야에서 세계 최대 규모의 학회인 '미국암학회(AACR)'가 지난 10일(현지시간)부터 시작됐다.

어피메드는 이중항체 플랫폼으로 개발한 호지킨 림프종 타깃의 파이프라인 'AFM13'의 임상 1상 데이터를 발표했다.

어피메드를 포함한 호지킨 림프종 개발 바이오텍에게는 기회인 셈.

GC녹십자랩셀이 개발한 제대혈 기반의 NK세포와 어피메드의 이중항체를 결합할 계획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미국암학회에서 임상 1상 데이터 공개
독일 제약사 어피메드의 'AFM13'의 구조. 호지킨 림프종 환자의 비정상 림프구에서 발현하는 CD30과 NK세포를 연결하는 이중항체를 이용해 종양을 제거하는 원리다.(사진 Journal of Hematology & Oncology)

암 분야에서 세계 최대 규모의 학회인 ‘미국암학회(AACR)’가 지난 10일(현지시간)부터 시작됐다. AACR의 첫 시작을 알린 건 독일의 제약사 어피메드다. 어피메드는 이중항체 플랫폼으로 개발한 호지킨 림프종 타깃의 파이프라인 ‘AFM13’의 임상 1상 데이터를 발표했다.

어피메드에 따르면 호지킨 림프종 환자 4명 중 2명은 완전관해를 보였고, 나머지 2명 역시 유의미한 차도를 보였다. 어피메드의 발표 이후 장중 주가는 23.45%가 올라 9.74달러에 마감했다. 

호지킨 림프종은 혈액암의 일종으로, 림프계를 따라 발생부위가 조금씩 늘어나는 게 특징이다. 시장조사기관인 글로벌데이터에 따르면 미국, 유럽, 일본 등 주요 시장에서 호지킨 림프종의 매출은 2019년 기준 12억 달러(약 1조3452억 원)였다. 

현재 이 시장을 선점하고 있는 것은 미국의 시애틀 제네틱스의 일본 다케다제약이 공동개발한 ‘애드세트리스’다. 10년 이상 시장을 리딩해 온 애드세트리스는 2024년 미국에서 특허가 만료된다. 뒤이어 일본, 유럽에서도 각각 2026년, 2027년에 만료된다. 어피메드를 포함한 호지킨 림프종 개발 바이오텍에게는 기회인 셈. 업계에서는 이런 배경이 어피메드에 대한 기대감을 높였다고 보고 있다. 

AFM13은 호지킨 림프종의 바이오마커인 CD30을 타깃으로 하는 이중항체(bispecific antibody)다. 빠르게 증식하는 B세포 혹은 T세포(비정상 림프구)의 세포막에 발현되는 단백질이다. AFM13은 비정상 림프구의 살상능력을 높이기 위해 이중항체에 NK세포를 연결했다. CD30과 연결된 NK세포는 비정상 림프구를 제거함으로써 종양의 크기를 줄여나가는 원리다. 

어피메드는 현재 국내의 NK세포치료제 개발 기업인 엔케이맥스, GC녹십자랩셀과 각각 차세대 항암제 개발을 준비 중이다. 지난해 어피메드는 GC녹십자랩셀과 녹십자홀딩스가 설립한 미국 현지법인인 아티바와 공동 개발 계약을 마쳤다. GC녹십자랩셀이 개발한 제대혈 기반의 NK세포와 어피메드의 이중항체를 결합할 계획이다.

최지원 기자 jwchoi@hankyung.com

경제지 네이버 구독 첫 400만, 한국경제 받아보세요
한경 고품격 뉴스레터, 원클릭으로 구독하세요
한국경제신문과 WSJ, 모바일한경으로 보세요

ⓒ 한국경제 & hankyung.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