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포]"온전한 진실을.." 7주기 앞둔 세월호 참사 추모 발길

김혜인 2021. 4. 11. 15:5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잊지 않지 않겠습니다. 진실이 온전히 밝혀질 때까지 함께 하겠습니다."

세월호 참사 7주기를 닷새 앞둔 11일 오후 전남 목포시 달동 목포신항 주변.

가족 단위로 모인 추모객들은 세월호가 세워진 장소를 찾아 아픔을 기억하고 나눴다.

김모(45)씨는 "세월호 참사를 계기로 참담한 사고가 재발하지 않도록 국가적 차원의 안전 대응 체계가 확실히 구축돼야 한다"고 밝혔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선체 거치 목포신항, 추모 발걸음 잇따라
"안전사회 조성·진상 규명" 한 목소리
[목포=뉴시스] 김혜인 기자 = 세월호 참사 7주기를 닷새 앞둔 11일 오후 전남 목포신항만에 육상 거치된 선체를 지켜보는 시민들의 발길이 이어지고 있다. 2021.04.11.hyein0342@newsis.com


[목포=뉴시스]김혜인 기자 = "잊지 않지 않겠습니다. 진실이 온전히 밝혀질 때까지 함께 하겠습니다."

세월호 참사 7주기를 닷새 앞둔 11일 오후 전남 목포시 달동 목포신항 주변. 인양 이후 줄곧 세월호 선체가 거치돼 있는 항만 주변에는 전국 각지에서 모인 발걸음이 끊이지 않았다.

세월이 흔적이 느껴지듯 빛바랜 노란 리본이 바람에 나부꼈지만 '안전 사회 염원' 글귀 만은 또렷했다.

가족 단위로 모인 추모객들은 세월호가 세워진 장소를 찾아 아픔을 기억하고 나눴다.

세월호가 보이는 먼 발치에서 발걸음을 쉽사리 떼지 못하는는 추모객들도 눈에 띄었다. 항만 경비용 철조망에 매달린 노란 리본 글귀와 진상규명을 설명한 안내판도 천천히 곱씹으며 읽기도 했다.

어머니가 미수습자 5명에 대해 설명하자, 어린 자녀들은 묵묵히 고개를 끄덕였다. 녹이 슨 세월호를 바라보다 '어쩌다 어린 학생들이…'하며 차마 말을 잇지 못하는 이도 있었다.

한 시민은 '철저한 진상규명이 될 때까지 함께 하겠습니다'는 글귀를 손수 적은 노란 리본을 철조망에 매달았다.

[목포=뉴시스] 김혜인 기자 = 세월호 참사 7주기를 닷새 앞둔 11일 오후 전남 목포신항만에 육상 거치된 선체를 지켜보는 시민들의 발길이 이어지고 있다. 2021.04.11.hyein0342@newsis.com


목포시민 이모(39·여)씨는 "자녀들이 도로 곳곳에 걸린 노란 리본을 궁금해 했다. 참사 교훈을 잊지 않고 기억하자는 의미에서 잠시 들렀다. 참사가 일어난 지 수 년이 흘렀지만, 희생자를 생각하면 볼 때마다 안타깝다"고 했다.

김모(45)씨는 "세월호 참사를 계기로 참담한 사고가 재발하지 않도록 국가적 차원의 안전 대응 체계가 확실히 구축돼야 한다"고 밝혔다.

진상 규명과 책임자 처벌에 대한 목소리도 나왔다.

광주시민 정모(32)씨는 "7년이라는 세월이 흘렀는데 '왜 구조하지 못했나'에 대해 지금까지 명확히 밝혀진 것이 없다고 생각한다. 답답하다"며 한숨을 쉬었다.

이모(32·여)씨는 "해경 등 구조 책임자에 대한 처벌 수위가 약하다고 본다. 공정한 기준과 상식을 바탕으로 책임을 다하지 못한 이들을 처벌해야 한다"고 말했다.

[목포=뉴시스] 김혜인 기자 = 세월호 참사 7주기를 닷새 앞둔 11일 오후 전남 목포신항만에 육상 거치된 선체를 지켜보는 시민들의 발길이 이어지고 있다. 2021.04.11.hyein0342@newsis.com

☞공감언론 뉴시스 hyein0342@newsis.com

Copyright ©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