헷갈리는 플라스틱 용어 ⑦ 원래 플라스틱은 폴리올레핀? [우리가 몰랐던 과학 이야기] (187)

황계식 2021. 4. 11. 13:0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폴리에틸렌(PE)은 자주 접하는 플라스틱으로 익숙하지만, 폴리올레핀(Polyolefin·PO)은 조금 낯설게 느껴집니다.

PO는 PE 등 플라스틱을 만드는 원료입니다.

단단한 플라스틱부터 비닐 등 말캉한 소재까지 그 원료가 되는 물질이 바로 PO입니다.

조금은 낯설게 느껴졌던 PO, 알고 보니 PE 등 생활 속 플라스틱 제품을 만드는 기초 원료였습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 의해 수정되어 본문과 댓글 내용이 다를 수 있습니다.

 
폴리에틸렌(PE)은 자주 접하는 플라스틱으로 익숙하지만, 폴리올레핀(Polyolefin·PO)은 조금 낯설게 느껴집니다. PO는 PE 등 플라스틱을 만드는 원료입니다. 단단한 플라스틱부터 비닐 등 말캉한 소재까지 그 원료가 되는 물질이 바로 PO입니다. 

오늘은 우리가 생활에서 자주 접하지만 잘 몰랐던 PO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폴리올레핀(PO)dl란?
폴리올레핀. 출처=bedisan.com
 
PO는 올레핀(이중 결합을 1개 가진 사슬모양 탄화수소 화합물)의 중합으로 생기는 고분자 화합물입니다. 단량체 또는 모너머(monover)로서, PE와 폴리프로필렌(PP) 등이 바로 해당합니다.

즉 PE는 에틸렌 모너머를 중합시켜 만든 PO입니다. PP는 프로필렌 모너머로부터 중합된 PO라 할 수 있습니다.

◆폴리올레핀 특성
 
PE는 밀도에 따라 그 특성이 달라집니다. 밀도가 낮으면 액체나 고무와 같은 탄성을 갖게 되며, 높으면 가소성(Plasticity)을 띱니다. 따라서 중합체 공정에 따라 다양한 물리적 특성을 지닌 플라스틱 제품을 만들 수 있습니다.

또한 화학적 안정성과 기계적 물성, 경량성, 투명성의 특징을 지니고 있으며, 가공이 쉽고 다른 소재에 비해 가격이 저렴하기 때문에 우리 생활에 필요한 플라스틱 재료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폴리올레핀 #종류
폴리올레핀 종류인 플라스틱 필름
 
앞서 언급했듯 PO 종류로는 대표적으로 PE와 PP가 있습니다. 

PE는 밀도에 따라 고밀도(HD)와 저밀도(LD), 선형저밀도(LLD)로 나눌 수 있습니다.

HDPE는 가벼우면서도 높은 강도와 강성, 우수한 내화학성 특징을 지니고 있습니다. LDPE는 부드럽고 유연한 게 특징으로 식품포장 비닐 및 종이 코팅 등에 쓰입니다. LLDPE는 LDPE보다 강성이 뛰어나고, HDPE보다 훨씬 유연한 게 특징으로 높은 인장 강도와 내충격성을 지닌 비닐과 코팅 원료로 이용됩니다.

PP는 PE와 유사하지만 그다 밀도가 낮고 녹는 점이 더 높아 1회용 식품용기로 주로 활용됩니다.

◆생활 속 폴리올레핀
 
우리 생활에서 PO는 어떻게 사용되고 있을까요? 

일상 생활에서 자주 쓰이는 플라스틱 우유병, 편의점 도시락, 세제통과 화장품 병, 장난감이나 학용품, 식품을 담는 비닐, 쓰레기 봉투, 그리고 종이컵(사진)에도 PE가 이용됩니다. 

이 외에도 운동화 밑창에 사용되는 EVA(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케이블 절연체나 전선수지 등도 바로 PO로 만들어집니다. 

조금은 낯설게 느껴졌던 PO, 알고 보니 PE 등 생활 속 플라스틱 제품을 만드는 기초 원료였습니다. 한화솔루션은 1972년 LDPE, 86년 LLDPE를 각각 국내 최초 생산한 이래 현재 국내 최대 설비를 보유하고 LDPE의 국내 시장 점유율 1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친환경 자동차로 떠오른 전기차의 배터리 분리막 소재로도 각광받고 있다고 하는데요. 일상 생활용품부터 자동차 소재까지 점점 ‘진화’를 하고 있는 PO의 활약을 지켜봐 주기 바랍니다.

한화솔루션 블로거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