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출마 앞둔 정 총리 "낡은 이념 투쟁 끝내야"

최훈길 2021. 4. 11. 10:3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대선 출마를 앞둔 정세균 국무총리가 "나의 옳음으로 상대를 적으로 규정하는 낡은 이념 투쟁은 이제 끝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세균 총리는 11일 페이스북에서 "그동안 우리 정치는 너무 오랫동안 자신들만의 옳음을 강요해왔다"며 "강퍅한 옳음은 분열과 폭력을 수반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정 총리는 "선열들이 만들고자 했던 정치와 교육, 경제가 균등한 세상을 현실의 역사로 이루기 위해서는 이제 갈등과 분열에서 벗어나 대화와 화합의 정치로 혁신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페북서 "갈등·분열 벗어나 대화로 혁신해야"
"정세균 뜻처럼 세상 균등히 고르게 할 것"
[세종=이데일리 최훈길 기자] 대선 출마를 앞둔 정세균 국무총리가 “나의 옳음으로 상대를 적으로 규정하는 낡은 이념 투쟁은 이제 끝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세균 국무총리가 지난 9일 이란에 억류됐다 풀려난 이부재 선장과 통화했다. 정 총리는 우리 정부를 신뢰하고 억류 생활을 기다려준 선장과 선원들에게 위로와 감사의 뜻을 표했다. [사진=총리실]
정세균 총리는 11일 페이스북에서 “그동안 우리 정치는 너무 오랫동안 자신들만의 옳음을 강요해왔다”며 “강퍅한 옳음은 분열과 폭력을 수반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정 총리는 “선열들이 만들고자 했던 정치와 교육, 경제가 균등한 세상을 현실의 역사로 이루기 위해서는 이제 갈등과 분열에서 벗어나 대화와 화합의 정치로 혁신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정 총리는 “102년 전 오늘, 자주독립과 국민주권을 기치로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중국 상해에 수립됐다”며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건국의 기본이념으로 조소앙 선생의 삼균주의를 채택했다. 삼균주의(三均主義)란 권력(權力)과 지력(智力), 부력(富力) 즉, 정치, 교육, 경제 각 개개의 권리에 치우침 없는 균등한 세상을 지향하는 건국 이념”이라고 설명했다.

정 총리는 “패자도 승자도 함께 이기는 민주주의가 성숙한 민주주의며 곧 삼균주의의 지향점”이라며 “100여 년이 지났지만 부끄럽게도 아직 우린 선조들이 꿈꾸던 삼균세상을 이루지 못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정 총리는 “정치를 시작하고 지금까지 우리 사회의 균형을 갖추는 균등에 대해 오랜 시간 고민해 왔다”며 “제 이름 정세균(丁世均)의 뜻처럼 ‘세상을 균등히 고르게’ 하는 고무래가 되고 싶다”고 강조했다.

정 총리는 11~13일 이란을 방문해 양국 협력 방안을 논의한다. 귀국 이후 정 총리는 이달 중에 대선 출마를 선언할 예정이다.

최훈길 (choigiga@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