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엔솔-SK이노 합의..3년 배터리 소송전 마침표

박영민 기자 2021. 4. 11. 09:2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LG에너지솔루션과 SK이노베이션이 배터리 영업비밀 침해소송 판결의 효력 발생을 앞두고 막판 합의에 성공했다.

11일 미국 블룸버그통신 등 외신과 업계에 따르면 양사는 영업비밀 침해 소송과 관련한 합의안을 이날 오전 중 발표한다.

 민사소송인 ITC 소송은 최종결정 이후에도 양사가 합의하면 즉시 소송 결과를 되돌릴 수 있다.

다만, 이날 양사가 합의하면서 SK이노베이션에 대한 ITC 수입금지 조치는 무효화될 전망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美 대통령 거부권 시한 하루 앞두고 극적 협상..합의금 등 공식 입장은 아직

(지디넷코리아=박영민 기자)LG에너지솔루션과 SK이노베이션이 배터리 영업비밀 침해소송 판결의 효력 발생을 앞두고 막판 합의에 성공했다. 이로써 지난 3년간 이어진 배터리 소송전도 마침표를 찍게 됐다.

11일 미국 블룸버그통신 등 외신과 업계에 따르면 양사는 영업비밀 침해 소송과 관련한 합의안을 이날 오전 중 발표한다.

양사는 그동안 합의 금액을 두고 입장차를 보였지만, 바이든 대통령의 미국 국제무역위원회(ITC) 판결 거부권 시한을 하루 앞두고 극적으로 합의에 도달했다. 민사소송인 ITC 소송은 최종결정 이후에도 양사가 합의하면 즉시 소송 결과를 되돌릴 수 있다.

합의금 규모와 양사의 공식 입장은 이르면 이날 오전 중 공개될 예정이다. 양사는 현재 합의문을 최종 조율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LG에너지솔루션(왼쪽)과 SK이노베이션(오른쪽) 관계자들이 각사가 제조한 전기차배터리를 들어보이고 있다. 사진=각 사

SK 측은 지난달 김준 총괄사장과 외교부 출신인 김종훈 이사회 의장의 방미(訪美)에 이어 현지 정부 인맥을 총동원해 거부권 설득전을 펼쳤다. 회사는 샐리 예이츠 미국 법무부 전 차관을 미국사업 고문으로 영입, 캐럴 브라우너 전 환경보호청(EPA) 청장 등 정책 입김이 센 인사를 통해 반전을 꾀했다.

LG 측도 현지에서 정부 관계자들을 상대로 거부권 방어에 집중했다. 오바마 정부 시절 에너지부 장관을 지낸 어니스트 모니즈를 고문으로 영입해 기업 영업비밀과 지적재산권 보호 측면을 강조한 것으로 알려졌다.

중립적인 비영리 연구기관인 CRP(Center for Responsive Politics)에 따르면 SK 측은 이같은 로비에 65만 달러(약 7억2천644만원)를, LG 측은 53만 달러(약 5억9천233만원)을 썼다.

다만, 이날 양사가 합의하면서 SK이노베이션에 대한 ITC 수입금지 조치는 무효화될 전망이다. SK이노베이션의 조지아 배터리 1·2공장 건설도 차질없이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미국이 원하는 최상의 시나리오였던 만큼, 바이든 정부의 중재가 합의를 이끌어냈다고 외신은 분석했다. 블룸버그통신은 "바이든 정부는 전기차 산업과 기업의 지재권에 대한 지원 등 두 마리 토끼를 잡게 됐다"고 평가했다.

박영민 기자(pym@zdnet.co.kr)

Copyright © 지디넷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