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대 10명 중 8명 "우리는 코로나세대"

박정규 2021. 4. 10. 11:59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장기화하고 있는 코로나19 여파 속에 '코로나19 세대'라는 말이 신조어로 등장하면서 청년들의 상당수가 자신을 코로나19 세대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구인구직 매칭 플랫폼 사람인에 따르면 20∼30대 2171명을 대상으로 '스스로 코로나19 세대라고 생각하는지'를 물은 설문조사 결과 전체 응답자 10명 중 8명(79%)이 '나는 코로나19 세대'라고 답했다.

설문조사에 참여한 응답자의 38.5%는 '코로나19 여파는 2년간 지속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뉴시스] 8일 구인구직 매칭 플랫폼 사람인에 따르면 20∼30대 2171명을 대상으로 '스스로 코로나19 세대라고 생각하는지'를 물은 설문조사 결과 전체 응답자 10명 중 8명(79%)이 '나는 코로나19 세대'라고 답했다.(그래픽=사람인 제공) 2021.4.8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장기화하고 있는 코로나19 여파 속에 '코로나19 세대'라는 말이 신조어로 등장하면서 청년들의 상당수가 자신을 코로나19 세대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구인구직 매칭 플랫폼 사람인에 따르면 20∼30대 2171명을 대상으로 '스스로 코로나19 세대라고 생각하는지'를 물은 설문조사 결과 전체 응답자 10명 중 8명(79%)이 '나는 코로나19 세대'라고 답했다.

스스로를 코로나19 세대라고 규정하는 이유는 구직자와 직장인의 이유가 조금씩 달랐다. 구직자는 '코로나19 영향으로 취업을 못 하고 있어서'(55.8%·복수응답)라는 답변이 1위인 반면 직장인은 '비대면 전환, 디지털화 등 코로나19로 인한 변화의 중심에 있어서'(40.7%)가 가장 많았다.

코로나19 세대라고 답한 1716명이 꼽은 가장 큰 문제는 '취업'이었다. '취업'(49.1%·복수응답)은 코로나19로 인해 잃은 것 중 1위를 차지했다. 이어 '경제난으로 목돈마련 계획 무산'(37.2%), '개인의 미래 설계'(36.8%), '인간관계'(33.9%), '직장(실직)'(15.2%), '연애'(14.7%) 등을 잃었다고 답했다. 또 이들의 71.9%는 실직이나 고용 불안에 시달리고 있는 것으로 응답했다.

20∼30대 전체 응답자의 절반 이상(58.1%)은 '스스로를 IMF, 금융위기를 겪은 세대보다 더 암울하다'고 생각했다. 또 현재 시점에서 가장 우려되는 것은 '감염우려'(41.5%·복수응답)였지만 '장래'(32.3%), '생활비'(32%), '취업실패'(30.6%) 등 다소 암울한 상황들이 뒤를 이었다.

20∼30대 중 기존보다 '부채가 늘었다'고 답한 이들은 36%였다. 부채가 늘어난 이유는 '수입이 줄어 생활비가 필요해서'(63.4%·복수응답)가 가장 많았 '생계수단 유지를 위해서(공과금 등)'(43.4%), '기존에 있던 빚을 갚기 위해서'(17.7%), '해고가 돼서'(13.1%) 등이 뒤를 이었다. 빚은 평균 1300만원가량 늘어났다.

설문조사에 참여한 응답자의 38.5%는 '코로나19 여파는 2년간 지속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장기적으로 부정적 영향을 계속 줄 것'이라고 생각하는 이들도 21.8%였고 '최소 3년 지속'이 20.9%를 차지한 데 반해 '올해 이내(2021년 연말)에 안정될 것'이라는 답은 18.8%로 가장 적었다.

임민욱 사람인 팀장은 "본인의 의지나 노력 여부와 관계없이 사회 첫 진출을 하지 못하거나, 해고·고용불안 등을 경험한 코로나19 세대들이 늘어나게 되면 이는 장기적인 사회문제로 대두될 확률이 높다"며 "정책 차원의 사회적 안전장치 마련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Copyright ©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