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창배가 휙 그렸던 파격과 일탈의 한국화를 추억하다

노형석 2021. 4. 9. 11:0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올해로 20주기를 맞는 작고 화가 황창배(1947~2001)는 한국화 화단에서 여전히 파격과 일탈의 대명사로 기억된다.

그는 서울대 미대에서 수학하며 월전 장우성과 철농 이기우로부터 전통 화법과 전각, 글씨 등을 탄탄하게 전수받은 엘리트 화가였다.

1978년 국전에서 한국화가로 첫 대통령상을 수상할 만큼 수준급의 기량을 일찌감치 터득했지만, 경직된 필법과 지필묵 재료의 틀 안에 여전히 안주했던 한국화의 고답적인 틀을 생래적으로 싫어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국화가 황창배 20주기 전시회
황창배 20주기 전에 나온 고인의 1987년 작 <무제>.

올해로 20주기를 맞는 작고 화가 황창배(1947~2001)는 한국화 화단에서 여전히 파격과 일탈의 대명사로 기억된다.

그는 서울대 미대에서 수학하며 월전 장우성과 철농 이기우로부터 전통 화법과 전각, 글씨 등을 탄탄하게 전수받은 엘리트 화가였다. 1978년 국전에서 한국화가로 첫 대통령상을 수상할 만큼 수준급의 기량을 일찌감치 터득했지만, 경직된 필법과 지필묵 재료의 틀 안에 여전히 안주했던 한국화의 고답적인 틀을 생래적으로 싫어했다. 양화의 물감 재료를 섞고 서구의 추상주의, 표현주의 사조 등을 빨아들인 파격화풍으로 1980~90년대 화단을 마구 휘젓고 다녔다. 안정된 미대 교수 자리도 박차고 나와 주체할 수 없을 정도로 귀기 어린 붓질을 휘두르다 홀연히 생을 등진 풍운아였다.

그의 화력을 추억하는 20주기 전 1부 ‘의도를 넘어선 회화―숨은그림찾기’가 유족이 운영 중인 서울 연희동 황창배미술공간에서 지난달부터 열리고 있다. 미술평론가·미술사연구자인 박영택·김복기·김상철·송희경씨가 4부로 기획해 12월까지 이어가는 장기 전시회의 첫 부분이다. 출품작으로 1986~87년 고인이 그린 ‘숨은그림찾기’ 연작들이 나왔다. 이 땅의 전통적 음양관과 자연관에 바탕해 어떤 격식이나 질서에서도 초탈한 듯한 선과 색의 기운찬 흐름과 충돌, 이합집산이 화면 곳곳에 펼쳐진다. 17일까지.

노형석 기자 nuge@hani.co.kr

Copyright © 한겨레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