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스트시큐리티 "알약, 1분기 랜섬웨어 공격 총 15만5000건 차단"

이후섭 2021. 4. 9. 11:0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보안 전문기업 이스트시큐리티는 백신 프로그램 `알약`을 통해 올해 1분기 총 15만4887건의 랜섬웨어 공격을 차단했다고 9일 밝혔다.

1분기 알약을 통해 차단된 랜섬웨어 공격을 일간 기준으로 환산하면 일평균 1720건을 차단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일평균 1720건 달해..지난해 4분기 보다는 감소 추세 보여
마콥 랜섬웨어 위협 지속..디도스·소디노키비 공격도 등장
[이데일리 이후섭 기자] 보안 전문기업 이스트시큐리티는 백신 프로그램 `알약`을 통해 올해 1분기 총 15만4887건의 랜섬웨어 공격을 차단했다고 9일 밝혔다.

1분기 알약을 통해 차단된 랜섬웨어 공격을 일간 기준으로 환산하면 일평균 1720건을 차단했다. 이번 통계는 개인 사용자를 대상으로 무료 제공하는 공개용 알약의 `랜섬웨어 행위기반 사전 차단 기능`을 통해 차단된 공격만을 집계한 결과로, 패턴 기반 공격까지 포함하면 전체 공격은 더욱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

다만 올해 1분기 총 랜섬웨어 공격은 지난해 4분기 대비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으며, 랜섬웨어가 기승을 부리기 시작한 2019년부터 현재까지 약 2년간의 공격 추이도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이스트시큐리티 대응센터(ESRC)에 따르면 올해 1분기에는 이메일 내 입사 지원서, 이력서, 포트폴리오 등으로 위장한 첨부파일로 유포되는 `마콥(Makop)` 랜섬웨어 위협이 지속됐다. 또 랜섬머니 지불을 강요하기 위한 목적의 `디도스(DDoS)` 공격과 언론인 및 피해자의 사업 파트너에게 음성 전화를 시도하는 등 새로운 전략을 추가한 `소디노키비(Sodinokibi)` 랜섬웨어 공격이 새롭게 등장했다.

ESRC는 1분기 주목할만한 보안 위협으로 지난 3월에 등장한 `디어크라이(DearCry)`, `블랙킹덤(Black Kingdom)` 랜섬웨어를 꼽았다. 해당 랜섬웨어는 3월 초부터 이슈가 된 마이크로소프트 익스체인지 서버의 `ProxyLogon` 취약점을 악용해 미국, 캐나다, 영국, 독일, 호주 등을 타깃으로 공격을 감행하고 있다.

이 외에도 △도플페이머(Doppelpaymer) 랜섬웨어 그룹의 현대·기아자동차의 기업 내부 자료 다크웹 공개 사건 △비너스락커 조직의 RaaS 형태의 마콥(Makop) 랜섬웨어 공격 지속 △국제 수사 기관 공조 성과에 따른 지기(Ziggy) 랜섬웨어 운영자의 운영 중단 선언 △기업용 랜섬웨어인 바북 라커(Babuk Locker)의 등장 △웜 기능을 갖춘 류크(Ryuk) 랜섬웨어 변종 발견 등을 주요 이슈로 선정했다.

올 1분기 도플페이머 랜섬웨어 그룹이 운영하는 다크웹 사이트에서는 실제로 현대차와 현대글로비스 등 계열사 데이터가 대거 발견됐고, 해당 데이터에는 제네시스 자동차 도면, 기업 재무 자료, 내부 직원 아웃룩 이메일 백업 파일 등 민감한 문서들도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또 국제 수사 기관의 공조로 넷워커(Netwalker) 등의 랜섬웨어가 무력화됐으며, 이로 인해 지기 랜섬웨어 운영자들이 스스로 운영을 중단하겠다 선언하고 피해자들에게 복호화 키를 공개하기도 했다.

문종현 ESRC 센터장은 “올 1분기 비너스락커 조직이 마콥 랜섬웨어를 지속 활용한 정황이 수십차례 포착된 바 있다”며 “랜섬웨어 공격 양상이 기존의 공격 방식에서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거나 여러 공격 기법을 결합한 형태로 점점 진화하고 있기에 관련 기업과 개인들은 주기적인 백업 및 안전한 보안 시스템 구축 등을 통해 미리 대비하는 자세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후섭 (dlgntjq@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