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년 인생을 뒤흔든 '좋은 피' 실험의 흔적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1942년 독일이 점령하던 유고슬라비아 첼예(현 슬로베니아)에는 '인종 검사관'이 있었다.
점령지에서 '우수 인종' 특성을 보이는 아이들도 납치했다.
'나는 히틀러의 아이였습니다'는 생후 9개월에 인종 심사를 통해 독일인 가정에 보내진 한 여성이 뿌리를 찾는 과정을 담은 회고록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잉그리트 폰 욀하펜·팀 테이트 지음/강경이 옮김
휴머니스트/272쪽/1만 6000원
1942년 독일이 점령하던 유고슬라비아 첼예(현 슬로베니아)에는 ‘인종 검사관’이 있었다. 아이들의 코 길이를 재 이상적 코와 비교하고 입술, 치아, 엉덩이, 생식기까지 찔러 봤다. ‘소중한 유전자’를 가진 알곡과 ‘쭉정이’를 분류하는 작업이었다. 상위권 아이들은 나치 친위대장 하인리히 함러의 비밀 프로젝트 ‘레벤스보른’으로 넘겨졌다.
생명의 샘이라는 뜻으로 불린 이 계획은 제2차 세계대전 나치가 ‘우수 인종’을 길러 아리아인 국가를 건설하려 실행한 인종 실험이다. 미혼 임신부의 출산을 돕는다는 명목이었지만, 친위대원과 아리안 혈통 여성들의 혼외 관계를 장려해 ‘좋은 피’를 생산했다. 점령지에서 ‘우수 인종’ 특성을 보이는 아이들도 납치했다. 2000년대 들어서야 관련 자료가 공개된 이 만행은 마거릿 애트우드의 소설 ‘시녀 이야기’의 모티브가 되기도 했다.
‘나는 히틀러의 아이였습니다’는 생후 9개월에 인종 심사를 통해 독일인 가정에 보내진 한 여성이 뿌리를 찾는 과정을 담은 회고록이다. 독일 이름 잉그리트 폰 욀하펜으로 살아온 그의 이전 이름은 에리카 마트코였다. 60세 무렵이던 1999년 친부모를 찾고 싶은지 묻는 독일 적십자사의 전화가 삶을 통째로 흔들었고, 이후 자신의 과거와 ‘레벤스보른’의 진실을 하나씩 찾아간다.
자신의 진짜 이름을 발견하면서부터 7년에 걸쳐 가까스로 퍼즐을 푼 뒤에는 분노를 느끼지만 깨달음도 얻는다. 에리카도 잉그리트도 둘 다 ‘나’라는 사실과 “우리는 태생의 조건이 아닌 우리가 내리는 선택으로 정의된다는 근본적인 진실”이다.
70년 전 범죄가 과거에 머물지 않는 건 지금도 우생학적 신념이 수많은 분쟁을 낳기 때문이다. “정치인들이 민족주의를 만지작거리며 인종적·역사적 열등성을 토대로 한 증오에 불을 붙인다. 1945년 이래 세계가 이토록 위험하게 분열된 적이 없다. 이제 역사에서 배워야 한다.” ‘레벤스보른의 아이’는 절절히 호소한다.
김지예 기자 jiye@seoul.co.kr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여친 나체사진 협박” 아역 출신 승마선수 40억 도박
- 달리던 화물차서 여성 뛰어내려 연쇄추돌사고…2명 부상
- 승승장구하는 BTS 부러운 일본…“소국의 기획사” 비아냥
- “××놈아!” 국민의힘 개표상황실에서 무슨 일이
- [단독] 국민의힘 현직 의원 부인 자택서 숨진 채 발견
- 아들이 데려온 며느리가 친딸, 中결혼식 기막힌 반전
- “김태현, 큰딸 시신 옆에 나란히 누워 의식 치른 듯”
- 100만원어치 배달음식 건물 곳곳에 투척한 여성 [이슈픽]
- 고민정 의원 만든 ‘광진을’…이번엔 吳에 59% 몰아줬다
- 고환 잡히자 격분해 흉기 휘두른 60대 “방어 차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