팬데믹 위기에 졸라맨 허리띠.. 가계소비 사상 최대폭 줄었다

임주형 입력 2021. 4. 8. 22:31 수정 2021. 4. 9. 05:0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코로나19가 덮친 지난해 가계 소비가 사상 최대폭으로 줄었다.

1분위만 3.3% 늘었을 뿐 나머지 계층은 모두 소비가 줄었다.

1분위 소비가 늘어난 건 집밥과 함께 식품 가격의 전반적인 상승으로 식료품·비주류음료(15.7%) 지출이 늘었기 때문이다.

상위 20%(5분위)의 월평균 소비는 0.3% 감소한 421만원으로 2019년과 거의 변동이 없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통계청 '2020 지출 가계동향조사' 발표
소비 1분위만 집밥·식품값 영향 3.3% 증가
소득 상위 20%는 0.3%, 중산층 6.3% 줄어
연령별 지출 저소득자 많은 60대만 늘어
'문화·오락' 22.6% 줄어 항목별 최대 감소
식료품·비주류음료 14.6% 역대 최다 늘어
1년 만에 음식·숙박 제치고 소비 비중 1위

코로나19가 덮친 지난해 가계 소비가 사상 최대폭으로 줄었다. 소득 하위 20%(1분위)를 제외하곤 모두 허리띠를 졸라맸다. 집밥이 늘면서 식료품 소비가 크게 증가했지만 여가활동 지출은 20% 넘게 감소하는 등 양극화를 보였다.

8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0년 연간 지출 가계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가구의 월평균 소비지출은 240만원으로 전년보다 2.3% 감소했다. 전국 가구를 대상으로 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2006년 이래(통계조사 방식이 달랐던 2017~2018년 제외) 가장 많이 감소했다.

1분위만 3.3% 늘었을 뿐 나머지 계층은 모두 소비가 줄었다. 특히 중산층인 하위 40~60%(3분위)는 6.3%나 감소했다. 1분위 소비가 늘어난 건 집밥과 함께 식품 가격의 전반적인 상승으로 식료품·비주류음료(15.7%) 지출이 늘었기 때문이다. 다른 계층도 식료품·비주류음료 구입 비용이 늘어난 건 마찬가지이지만 여가활동 비용 등을 줄이면서 전체적인 지출이 감소했다.

상위 20%(5분위)의 월평균 소비는 0.3% 감소한 421만원으로 2019년과 거의 변동이 없었다. 1분위(105만 8000원)보다 4배 가까이 지출이 많았다. 5분위는 특히 교통 지출이 18.2%나 늘었는데, 자동차 구입이 많았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정부는 지난해 자동차 개별소비세율을 인하했다. 여기에 여가활동 등이 제약되면서 소비를 차량 구매로 돌린 경향도 보인다. 교육 분야 지출은 5분위가 40만 3000원, 1분위는 1만 6000원으로 격차가 25.2배에 달했다. 다만 5분위는 가구원이나 자녀 수가 많은 게 이러한 격차의 한 원인이기도 하다.

전체 계층의 소비 증감을 항목별로 보면 식료품·비주류음료(14.6%)가 역대 가장 큰 폭으로 늘었다. 가정용품·가사서비스(9.9%), 보건(9.0%) 등도 증가폭이 컸다. 실내 활동 증가와 마스크 구입 비용 등이 원인으로 해석된다. 반면 오락·문화(-22.6%)와 교육(-22.3%), 의류·신발(-14.5%), 음식·숙박(-7.7%) 등은 큰 폭으로 감소했다.

정구현 통계청 가계수지동향과장은 “코로나19로 국내외 단체 여행이나 운동, 오락 시설 등의 이용이 줄고 외식이나 주점 등 식사비도 줄었다”며 “교육은 학원 수업 축소와 고교 무상교육 확대 등의 영향을 받았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가계 소비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항목이 바뀌었다. 2019년엔 음식·숙박(14.1%) 비중이 최고였으나 지난해엔 13.3%로 낮아졌고, 식료품·비주류음료(15.9%)가 가장 높았다.

가구주 연령대별로는 39세 이하(-2.6%)와 40대(-3.4%), 50대(-2.2%)는 소비가 감소한 반면 60대(2.1%)만 소폭 상승했다. 저소득층이 많은 60대의 소비 증가는 식품 가격 증가가 주된 원인으로 보인다.

세종 임주형 기자 hermes@seoul.co.kr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