같은 소액대출인데..저축은행 줄고 시중은행 늘었다

오정인 기자 2021. 4. 8. 18:37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300만 원 이하로 돈을 빌리는 소액 대출, 이른바 '비상금 대출'이라고도 하죠.

대출 한도와 이름 모두 같은 상품인데, 어떤 이유에선지 저축은행은 줄어든 반면 시중은행은 늘었습니다.

오정인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지난해 주요 5대 저축은행의  소액대출 잔액은 5685억원.

1년 전보다 4% 감소했습니다.

전체 대출이 크게 증가한 것과는 대조적입니다.

[저축은행 관계자 : 채널이 확대되다 보면 전체 시장 파이(규모)는 동일한데 취급하는 비중 자체가 나눠질 수밖에 없는 구조가 되는 거죠.]

시중은행에다 인터넷 전문은행, 빅테크 기업까지 소액대출 상품을 출시한 영향이 크다는 얘기입니다.

반면 시중은행 상황은 정반대입니다.

지난해 4분기 기준 5대 시중은행의 소액대출 잔액은 2222억 원.

1분기보다 5배 가까이 늘었습니다.

[시중은행 관계자 : 소득 증빙이 어려운 씬파일러 분들 있잖아요. 그런 분들이 받는 경우가 많고, 작년에 코로나19 심했을 때 올랐던(늘어났던) 것 같아요.]

소액대출은 일반 신용대출과 달리 씬파일러, 그러니까 신용이 낮거나 아예 없는 경우에도 1금융권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2금융권보다 문턱이 높을 순 있지만 그 차이가 크지 않아 굳이 높은 금리를  내고 저축은행의 소액대출을 받을 이유가 없는 겁니다.

[김상봉 / 한성대 경제학과 교수 : 저축은행 소액대출은 금리가 싸지 않은 편입니다. 1금융권은 상대적으로 싸거든요. (어떤 상품이든) 1금융권 먼저 이용하고 2금융권을 이용하는 것이 순서죠.]

저축은행 업계에선 법정 최고금리가 낮아져도 소액대출 금리는 여전히 10% 중후반대로 유지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결국 2금융권의 소액대출 감소세는 계속될 전망입니다.

SBS Biz 오정인입니다.

돈 세는 남자의 기업분석 '카운트머니' [네이버TV]

경제를 실험한다~ '머니랩' [네이버TV]

저작권자 SBS미디어넷 & SBS I&M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SBS Bi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