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파 김해영 "부산 민심, 조국·추미애로 이미 그로기였다"

정진형 2021. 4. 8. 17:42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與 재보선 참패에 작심 발언..친문 주류에 직격탄
"성찰한다면 조국, 추미애, 부동산 실책 짚고가야"
"조국 지키려 국민 갈라쳐놓고 누구도 책임 안 져"
"秋 막무가내 제지 못하고 尹 무리하게 쳐내려해"
"검찰개혁하듯 부동산 문제 집중했다면 이랬을까"
【안동=뉴시스】이무열 기자 = 김해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14일 오전 경북 안동시 풍천면 경상북도교육청 대회의실에서 열린 2019 국회 교육위원회의 경북대학교, 강원대학교, 강릉원주대학교, 안동대학교, 금오공과대학교, 대구교육대학교, 춘천교육대학교, 강원대학교병원, 경북대학교병원, 경북대학교치과병원, 강릉원주대학교치과병원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질의하고 있다. 2019.10.14. lmy@newsis.com

[서울=뉴시스]정진형 기자 = 김해영 더불어민주당 전 의원이 8일 부산시장 선거를 비롯한 4·7 재보궐선거 참패와 관련, 민주당과 친문 주류를 조목조목 질타하며 작심 발언을 했다.

김 전 의원은 이날 페이스북을 통해 "이번 선거에서 저희 민주당은 큰 패배를 당했다"며 "지역주의가 한창이던 지난 1995년 민선 1기 부산시장 선거에서도 당시 노무현 후보가 37%를 득표했었다. 이번 김영춘 후보의 득표가 34%"라고 운을 뗐다. 부산 정치인으로서 이번 재보선에서 민주당이 역대 최악의 참패를 당했음을 재차 강조한 것이다.

이어 "박근혜 전 대통령이 탄핵되면서 민주당은 보수 진영에 압도적으로 유리한 위치에 있었다"며 "그런 압도적으로 유리한 위치에서 이토록 짧은 시간 만에 당이 국민들로부터 신뢰를 잃은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지금 당의 모두가 성찰과 혁신을 이야기한다. 그런데 제대로 된 성찰과 혁신을 위해서는 분명히 짚고 넘어가야 할 부분이 있다"며 "바로 조국 사태와 추미애 전 장관과 윤석열 전 총장 문제, 부동산 실책"이라고 짚었다.

김 전 의원은 우선 "조국 사태에서 저는 우리 민주당이 너무나 큰 실책을 했다고 생각한다"며 "저는 지금도 당에서 조국 전 법무부 장관을 왜 그렇게 지키려 했는지 이해할 수가 없다. 조국이 아닌 다른 사람이 그 자리에 있었다면 달랐을 것"이라고 꼬집었다.

이어 "그와 같은 국민적 저항 속에서 조 전 장관을 밀어붙인다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었다"며 "특히 불법 여부를 떠나 조국 전 장관이 보여준 자녀 교육에서의 일반적인 행태를 뛰어넘는 특권적 모습은 우리 사회의 격차를 줄여나가는 것을 핵심 과제로 삼은 우리 민주당에서는 도저히 옹호할 수 없는 것이었다"고 정면 비판했다.

또 "조 전 장관 임명에 대한 국민들의 반대 여론이 높아지자 전전긍긍하던 지도부와 일부 의원들이 어느 날 이상한 프레임을 가지고 나왔다. '조국 반대'는 '검찰개혁 반대'이고 이는 '적폐세력'이라는 프레임"이라며 "검찰개혁은 핵심적인 부분이 입법을 통해서 이루어지는데 검찰개혁을 조국이 아니면 할 수 없다는 것은 참으로 정직하지 못한 주장"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21대 총선 당시에는 청년 인재를 영입해 놓고 조국 사태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기자들의 질문이 무서워 한동안 청년 영입 인재들이 인터뷰를 못하게 되는 촌극까지 벌어졌다"고 상기시킨 뒤 "이것은 이 당시 이미 당심과 민심의 괴리가 너무나 컸다는 방증일 것"이라고 힐난했다.

그는 "이렇게 조국 한 사람을 지키기 위해 이상한 프레임을 만들어서 국민들을 갈라치고 갈등을 조장했음에도 이후 당에서 누구 하나 제대로 책임지는 사람이 없었다"며 "지금이라도 당시 조국 전 장관 사태에서 당이 어떠한 이유로 그러한 입장을 취했는지에 대한 설명과 그러한 국민적 분열을 야기한 주된 책임이 있는 사람의 진정성 있는 반성이 필요하다"고 했다.

당시 조국 전 장관 엄호를 주도한 이해찬 전 대표를 비롯한 친문 주류에게 직격탄을 날린 것이다.

김 전 의원은 추미애 전 법무부 장관과 윤석열 전 검찰총장 간 충돌인 '추윤갈등' 문제도 끄집어냈다. 그는 "추 전 장관의 거친 언행과 절차를 지키지 않는 막무가내식 장관직 수행을 당에서 제지하지 못했다"며 "윤석열 전 총장을 무리하게 쳐 내려다 법원에 의해서 번번이 제동이 걸리면서 결국 대통령의 사과에까지 이르게 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검찰의 중립성이라는 측면에서 정권에 대한 수사를 하던 전직 검찰총장이 임기를 채우지 않고 정치 행보를 하는 것이 과연 적절한 것인가라는 의문은 있다"면서도 "검수완박을 추진하다 윤석열 전 총장에게 사퇴의 빌미만 주고 말았다"고 꼬집었다.

그는 "지금 시행되고 있는 검경 수사권 조정도 이를 안착시키기 위한 과제들이 산적해 있는데, 지금 검수완박(검찰 수사권 완전 박탈)을 도대체 무슨 이유로 주장하는지 모르겠다"고 반문했다. 강성 친문 의원들이 주도해온 검찰개혁을 맹성토한 셈이다.

나아가 "문재인 정부 들어서 검찰개혁을 강조하여 오랜 기간 당력을 검찰개혁에 쏟아부었다"며 "검찰개혁도 필요한 과제이지만 그것이 민생에 우선할 수 없다. 우리 민주당이 검찰개혁을 하듯 부동산 문제에 당력을 집중하였다면 지금 부동산 문제가 이렇게 심각하지는 않았을 것"이라고 잘라 말했다.

이어 "민주당과 국민의힘 정책의 결정적인 차이는 남북관계에 대한 해법에서의 입장 차이와 민주당이 우리 사회의 격차를 줄여나가는 것에 상대적으로 더 중점을 두고 있다는 부분일 것"이라며 "그런데 실상 우리 민주당 정부에서 부동산 격차를 비롯해 우리 사회의 격차가 오히려 확대된 측면이 있다. 너무나 뼈아픈 대목"이라고 개탄했다.

그러면서 "내가 있는 부산은 LH 사태가 아니더라도 조국 사태와 추미애 전 장관과 윤석열 전 총장의 충돌, 비례 위성정당 창당, 두 전직 시장의 사퇴 등으로 인해 이미 민주당에 대한 민심이 그로기 상태였다"고 단언했다.

김 전 의원은 결론적으로 "어제의 처참한 패배가 당이 환골탈태하여 새로워지고, 우리 민주당이 민생과 국민통합에 제대로 된 성과를 낼 수 있는 정당으로 거듭나는 좋은 약이 되기를 진심으로 바란다"면서 전면적 쇄신을 촉구했다.

부산에서 20대 국회의원을 지낸 김 전 의원은 이해찬 지도부 시절 최고위원으로 거침없는 소신 발언과 쓴소리를 이어간 대표적 당내 소장파이다.

☞공감언론 뉴시스 formation@newsis.com

Copyright ©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