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승기] 완성도를 높이고 돌아온 북유럽의 올라운더, 볼보 크로스컨트리 V60 프로 시승기

2021. 4. 8. 11:3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볼보의 올라운더 플레이어, 볼보 크로스컨트리 V60 프로는 새로운 파워트레인을 통해 차량의 매력을 더욱 높였다.

최근 볼보가 브랜드의 파워트레인을 꾸준히 개선하며 ‘전동화 시대’를 준비하는 모습이다.

실제 볼보는 글로벌 시장에서 디젤 사양을 빠르게 지워내기 시작했고, 국내 시장 역시 디젤 사양을 폐지하고 곧바로 전동화의 힘을 더한 가솔린 사양으로 재구성하고 있는 모습이며 ‘폴스타’ 브랜드의 도입도 빠르게 준비 중에 있다.

이런 가운데 프리미엄 올라운더 모델이라 할 수 있는 ‘볼보 크로스컨트리 V60’ 역시 새로운 파워트레인, ‘B5 파워 유닛’을 품으며 다시 한번 국내 소비자들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과연 볼보 크로스컨트리 V60 프로는 어떤 매력과 가치를 제시할 수 있을까?

그렇게 볼보 크로스컨트리 V60 프로와의 주행을 시작했다.

볼보 크로스컨트리 V60 프로 시승기

볼보 크로스컨트리 V60 프로는 볼보 포트폴리오의 중심을 잡는 60 클러스터에 속하는 차량이며 크로스컨트러의 고유한 특성을 고스란히 이어받았다.

실제 4,785mm의 전장과 1,850mm의 전폭은 여느 60 클러스터와의 유사성을 효과적으로 드러낸다. 대신 높아진 지상고와 클래딩 가드를 더하며 S60 대비 전고가 1,490mm으로 소폭 늘어난 모습이다. 참고로 휠베이스는 2,875mm이며 공차중량은 1,885kg에 이른다.

볼보 크로스컨트리 V60 프로 시승기

크로스컨트리의 매력을 과시하다

볼보 크로스컨트리 V60의 외형은 기반이 되는 60 클러스터의 특성, 즉 ‘스웨디시 다이내믹’을 기반으로 하며 크로스컨트리 특유의 올라운더의 감성을 제시하는 디테일 등을 효과적으로 제시한다는 점에서 늘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다.

게다가 왜건 오너의 개인적인 입장에서도 국내 시장에서는 말 그대로 전무한 수준의 ‘왜건’이 가진 기술적인 특성과 강점 역시 효과적으로 드러내는 점 역시 볼보 크로스컨트리 V60 프로의 매력 포인트이자 강점이라 말할 수 있을 것이다.

볼보 크로스컨트리 V60 프로 시승기

가장 먼저 눈길을 끄는 부분은 단연 전면에 있다. 토르의 망치로 볼보의 다양한 차량에 적용되고 있는 헤드라이트는 물론이고 특유의 깔끔함이 돋보이는 프론트 그릴은 화려함과 단정함의 절묘한 균형을 드러낸다.

덧붙여 크로스컨트리에 부여된 크로스오버의 감성을 강조하는 클래딩 가드를 차체 전면에 둘러 다양한 활동 범위에 대한 가능성 및 활용성을 대대적으로 드러내는 것 역시 잊지 않았다. 다만 기존 크로스컨트리 V60 대비 디자인 변화가 크지 않은 점은 아쉬운 부분이다.

볼보 크로스컨트리 V60 프로 시승기

측면에서 길게 이어지는 루프 라인은 물론이고 긴 휠베이스를 통해 여유로운 공간을 암시하며 왜건 모델의 매력을 효과적으로 제시한다. 특히 크로스컨트리 V90의 경우 ‘너무 길다’라는 느낌이 드는 반면 크로스컨트리 V60는 딱 ‘절묘한 균형감’을 제시하는 모습이라 더욱 만족스러웠다.

끝으로 후면에는 볼보 특유의 감성이 담겨 있는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와 60 클러스터 특유의 트렁크 게이트 등이 더해져 균형 잡힌 크로스오버 모델의 감성을 제시한다. 참고로 전동화의 힘을 더했지만 내연기관이 중심을 잡는 만큼 바디킷 끝에는 두 개의 머플러 팁을 배치한 점이 눈길을 끈다.

볼보 크로스컨트리 V60 프로 시승기

여전히 매력적인 북유럽의 라운지

볼보 크로스컨트리 V60 프로는 물론이고 볼보의 다양한 차량들이 제공하는 가장 큰 강점 중 하나는 바로 실내 공간의 구성, 그리고 그 구성이 제시하는 가치에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실제 크로스컨트리 V60 프로는 일반적은 볼보의 ‘인스크립션’ 트림이 가진 특성과 매력을 고스란히 이어 받은 모습이다. 깔끔함을 앞세운 모던한 구성에도 불구하고 전통적인 우드 패널과 밝은 가죽을 조합해 공간의 가치를 한층 높이는 모습이다.

게다가 이러한 모습이 최근 과도할 정도로 ‘최신 기술’에 종속되어 차갑게 구성되고 있는 타 브랜드의 차량에 비해 한층 따듯하고 다정하게 느껴져 있어 그 가치가 더욱 돋보이는 모습이다.

볼보 크로스컨트리 V60 프로 시승기

디지털 클러스터와 센터페시아 대부분을 차지한 디스플레이 패널은 차량에 대한 정보 등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시할 뿐 아니라 내비게이션이나 블루투스, 오디오는 물론 안전 및 편의 사양에 대한 다양한 기능을 보다 직관적으로 조율할 수 있도록 해 그 만족감을 높이는 모습이다.

게다가 동급 최고 수준의 옵션이자, 단 하나의 요소만으로도 ‘프로’ 트림을 선택하게 만드는 바워스&윌킨스 사운드 시스템이 한층 개량되어 적용된 점 역시 크로스컨트리 V60 프로가 갖고 있는 매력이라 할 수 있다.

볼보 크로스컨트리 V60 프로 시승기

크로스컨트리 V60 프로의 공간 역시 충분히 만족스럽다. 마사지 기능을 품고, 고급스러우면서도 기능적으로 구성된 시트와 함께 만족스러운 레그룸과 헤드룸이 공간 가치를 높인다. 탑승 시에 소재의 질감이나 연출, 그리고 허벅지 패드 확장 등의 기능 부분까지도 고루고루 신경을 쓴 티가 도드라져 그 만족감이 더욱 높아진다.

볼보 크로스컨트리 V60 프로 시승기

이어 2열 공간으로 자리를 옮기더라도 그 만족감은 계속 이어진다. 밝은 톤의 시트는 아주 푹신한 스타일은 아니지만 장거리 주행에도 지속되는 편안함을 느낄 수 있다. 또한 경쟁 모델 대비 넉넉한 휠베이스에서 연출되는 헤드룸과 레그룸을 통해 다양한 체격의 탑승자라도 만족할 수 있으며 또 독립 공조 시스템을 통해 쾌적함을 유지할 수 있도록 했다.

볼보 크로스컨트리 V60 프로 시승기

덧붙여 적재 공간에서는 왜건 스타일의 차량이 제시하는 매력을 노골적으로 누릴 수 있다. 상황에서 529L에 이르는 비교적 넉넉한 공간을 선사하는 것 외에도 분할 폴딩이 가능한 2열 시트를 접을 때에는 더욱 여유롭고 깔끔한 공간이 마련됨을 느낄 수 있다. 이외에도 격벽 및 고정 고리 등이 더해져 그 활용성 역시 상당하다.

볼보 크로스컨트리 V60 프로 시승기

차량의 완성도를 높이는 B5 파워 유닛

볼보가 크로스컨트리 V60 프로를 위해 새롭게 마련한 파워 유닛은 바로 B5 파워 유닛이다.

기존의 T5 엔진을 대체하고, 48V 기반의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더해 성능 구현의 섬세함 및 효율성의 개선을 이뤄낸 유닛이다. 구성은 10kW 및 4.1kg.m의 토크를 내는 전기 모터, 그리고 250마력과 35.7kg.m의 토크를 내는 2.0L 가솔린 터보 엔진으로 마련되었다.

여기에 8단 기어트로닉 자동 변속기와 AWD 시스템이 더해졌고, 이를 바탕으로 정지 상태에서 단 6.9초 만에 시속 100km까지 가속할 수 있다. 참고로 공인 연비는 복합 기준 9.9km/L이며 도심과 고속 연비는 각각 8.7km/L와 12.0km/L에 이른다.

볼보 크로스컨트리 V60 프로 시승기

올라운더를 위한 최적의 셋업, 그리고 만족감

볼보 크로스컨트리 V60 프로와의 본격적인 주행을 위해 도어를 열고 시트에 몸을 맡기면 새롭게 적용된 기어 시프트 레버를 제외한다면 이전의 크로스컨트리 V60와 다름이 없음을 느끼게 된다. 물론 소소한 부분에서의 차이는 있지만, 사실 큰 부분에서는 ‘변화가 없다’고 표현을 하더라도 무방한 수준이다.

대신 파워 유닛의 변화는 확실히 느껴진다. 실제 아이들링 상황에서 다소 진동과 소음이 도드라졌던 크로스컨트리 V60 T5 계열에 비한다면 크로스컨트리 V60의 B5 파워 유닛은 더욱 정제된 느낌을 주어 그 만족감을 높이는 모습이다.

볼보 크로스컨트리 V60 프로 시승기

이러한 특징은 주행에서도 고스란히 이어지는 모습이다. 실제 크로스컨트리 V60 프로의 엑셀러레이터 페달을 밟으면 이전보다 한층 부드럽고 매끄러운 움직임을 느낄 수 있다. 이는 10kW의 전기 모터가 요소요소 개입하며 ‘부드러움’을 더하기 때문이다.

덕분에 크로스컨트리 V60 프로는 이전보다 한층 매끄럽고, 더욱 부드러운 질감을 제시하여 주행 전반에 걸친 만족감을 높이는 모습이다. 참고로 250마력, 그리고 35.7kg.m의 토크 역시 준수한 수치라 이후 이어지는 추월 가속이나 고속 주행에서의 만족감이 꾸준히 이어진다.

볼보 크로스컨트리 V60 프로 시승기

8단 기어트로닉 자동 변속기는 성급하거나 과장된 모습은 아니다. 그저 일상적인 주행부터 다양한 상황을 모두 아우를 수 있도록 보편적인 질감을 드러내는 모습이다. 변속 속도나 반응 역시 이러한 ‘보편성’을 잘 드러낸다.

다만 아쉬운 점이 있다면 기어 시프트 레버를 전후 방향이 아닌 측면 방향으로 밀고 당기며 수동 변속을 하는 방법에 있다. 물론 차량의 성격상 수동 변속이 잦은 차량은 아니지만 사용성, 그리고 트림 구분을 위해 패들시프트를 더했으면 하는 바람이 생겼다.

차량의 전체적인 움직임은 올라운더 플레이어로 개발된 차량의 성격이 고스란히 드러난다.

볼보 크로스컨트리 V60 프로 시승기

실제 포장 상태가 깔끔하게 다듬어져 있는 구간에서는 최근의 볼보 차량들이 제시하는 한층 부드럽고 유들유들한 주행 질감을 제시한다. 이를 통해 일상 속에서의 패밀리카가 가져야 할 소양을 보다 효과적으로 드러내는 모습이다.

하지만 이것도 잠시, 노면이 좋지 않은 곳이나 혹은 순간적으로 충격이 도드라지는 구간에서는 한층 탄탄하고 나아가 터프한 질감을 노골적으로 드러낸다. 그로 인해 노면 질감이나 특성이 운전자에게 고스란히 전해지는 편이지만 충격 자체는 시트를 통해 많이 걸러지는 모습이다.

볼보 크로스컨트리 V60 프로 시승기

이러한 특성은 일반적인 온로드 주행 외에도 때때로 험로를 달릴 것을 염두하고 개발된 크로스컨트리 V60 프로의 특성을 효과적으로 드러내는 부분이다. 덕분에 더욱 넓은 범위의 주행이 가능하며, 운전자 및 탑승자에게 높은 신뢰도를 줄 수 있으리라 생각되었다.

크로스컨트리 V60 프로의 가장 큰 강점이라 한다면 바로 ‘안전의 강자’ 볼보가 가진 다양한 기술에 있다. 실제 주행을 하는 내내 크로스컨트리 V60 프로에 적용된 다양한 안전 및 편의 기능을 누릴 수 있었을 뿐 아니라 우수한 반자율주행 기술인 파일럿 어시스트 역시 다시 한번 기술의 매력을 드러냈다.

볼보 크로스컨트리 V60 프로 시승기

끝으로 크로스컨트리 V60 프로와 자유로를 달리며 그 효율성을 확인했다. 총 35분 동안 50.1km를 달리며 확인한 크로스컨트리 V60 프로의 연비는 16.8km/L로 차량이 제시하는 공인 연비, 그리고 고속 연비 등을 고려한다면 충분히 만족스러운 결과라 생각되어 ‘다재다능’에 대한 매력이 더욱 높아졌다.

좋은점: 스웨디시 올라운더가 제시하는 유틸리티, 더욱 부드러운 엔진의 가치

아쉬운점: 기존 모델 대비 적은 변화의 폭, 고객 인도의 오랜 대기 시간

볼보 크로스컨트리 V60 프로 시승기

올라운더의 가치를 제시하는 볼보 크로스컨트리 V60 프로

자신이 마주하는 여러 상황에 따라 최적화된 차량을 모두 구매하는 것도 좋겠지만 현실적으로 한계가 있는 게 사실이다. 그런 관점에서 본다면 다양한 환경 속에 위치하더라도 다양한 매력을 제시할 수 있는 크로스컨트리 V60 프로의 가치는 더욱 도드라지는 모습이다.

크로스컨트리 V60 프로는 매력적일 수 밖에 없는 스웨디시 올라운더다.

촬영협조: HDC 아이파크몰 용산, 볼보자동차코리아

모클 김학수 기자

Copyright © 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