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 무직 오세훈, 회생하셨네" 김어준의 운명은?

2021. 4. 7. 23:1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민의힘 오세훈 후보가 서울시장에 당선되면서, 먹구름이 낀 인물이 있다.

당선 직전까지 오세훈 및 야당과 각을 세웠던 김씨의 향방에 세간의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김씨는 서울시장 보궐선거가 열린 7일 오세훈 국민의힘 서울시장 후보 일가의 2005년 내곡동 땅 측량 당시 오 후보를 목격했다고 주장한 '생태탕집' 신상을 보도한 언론을 두고 "왜 직접 겪고, 듣고, 아는 바를 있는 그대로 증언하기 위해 어렵게 용기낸 일반인들을 때리나"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오세훈 당선인 TBS 예산지원 삭감 예고
방송법상 편성 개입 불가, 예산 삭감도 사실상 어려워
박영선 더불어민주당 서울시장 후보가 지난 2일 TBS교통방송 라디오 '김어준의 뉴스공장'에 출연한 뒤 진행자 김어준과 촬영한 사진을 페이스북에 올렸다. [박영선 페이스북 캡처]

[헤럴드경제=채상우 기자] 국민의힘 오세훈 후보가 서울시장에 당선되면서, 먹구름이 낀 인물이 있다. 바로 대표적인 친여(親與) 성향 방송인 김어준 씨다. 당선 직전까지 오세훈 및 야당과 각을 세웠던 김씨의 향방에 세간의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김씨는 서울시장 보궐선거가 열린 7일 오세훈 국민의힘 서울시장 후보 일가의 2005년 내곡동 땅 측량 당시 오 후보를 목격했다고 주장한 ‘생태탕집’ 신상을 보도한 언론을 두고 “왜 직접 겪고, 듣고, 아는 바를 있는 그대로 증언하기 위해 어렵게 용기낸 일반인들을 때리나”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하지만 김씨는 일반인인 박원순 전 서울시장 성추행 피해자가 여당 지지자들로부터 공격을 받은 것에 대해서는 “2차 가해를 운운하지 말라”고 오히려 두둔하는 이율배반적인 모습을 보였다. 그는 기자회견을 열고 증언에 나선 박 전 시장 성추행 피해자의 행동을 “정치적 행위”로 규정하기도 했다.

김씨는 이전부터 야당에 대한 무분별한 음모론을 내세우는 등 편파방송 논란이 끊이지 않았다. 지난 5일에는 ‘TBS 뉴스공장’에서 오세훈·박형준 후보 관련 의혹을 제기하는 익명의 제보자 5명 인터뷰를 약 90분 동안 방송하기도 했다.

김씨가 진행하는 뉴스공장은 2018년 1월부터 2020년 8월까지 방송통신심의위원회로부터 총 6차례 주의 또는 경고를 받았다. 위안부 피해자 이용수 할머니에 대해서도 정치공작이라는 음모론을 펼치기도 했다.

오세훈 후보는 이런 김어준의 정치 편향을 문제삼아 예산 지원 중단을 시사한 바 있다. TBS는 연간 약 400억원의 예산을 서울시로부터 지원받고 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오 후보가 김씨의 방송활동을 막는 것은 어려운 일이라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방송법 상 편성의 독립성을 보장해야 하기 때문이다. 또한, 예산을 중단하는 것은 서울시의회 논의를 거쳐야 하지만, 현재 서울시의의원 109명 중 101명이 더불어민주당 소속이기 때문에 이마저도 불가능에 가깝다.

한편 이날 김어준은 오세훈 후보의 압승이 유력시되는 출구조사가 나오자 tbs 교통방송에서 진행 중인 ‘김어준의 개표공장’에서 오 후보에 대해 “10년 동안 무직으로 고생하시다가 10년 만에 돌아오셨습니다”고 말했다.

이어 “두자릿수 21.3% 격차가 났다”며 “보궐선거가 임기가 1년짜리이긴 하나 숫자가 임팩트가 있어서 이렇다는 얘기는 진보 지지층은 안 나왔다는 얘기”라고 했다.

그러면서 “이번에는 숫자 결집도로 보면 보수 지지층은 아주 결집해서 투표율을 높여온 것이고, 투표율 50% 이하여야 민주당이 유리했던 것”이라고 나름 분석했다.

123@heraldcorp.com

- Copyrights ⓒ 헤럴드경제 & herald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