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민원 빗발친 보험사 'MG손보·KDB생명'

김현동 2021. 4. 7. 21:5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MG손해보험과 KDB생명의 고객당 민원건수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작년 사모펀드 사태와 비대면 거래 증가로 은행과 증권의 민원 건수가 크게 늘어나고, 20대의 민원도 크게 증가했다.

금융감독원이 7일 발표한 '2020년도 금융민원 및 금융상담 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고객 10만명당 환산 민원건수를 기준으로 했을 때 은행에선 씨티은행이 10.7건으로 민원이 가장 많았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금융감독원 제공)

MG손해보험과 KDB생명의 고객당 민원건수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작년 사모펀드 사태와 비대면 거래 증가로 은행과 증권의 민원 건수가 크게 늘어나고, 20대의 민원도 크게 증가했다.

금융감독원이 7일 발표한 '2020년도 금융민원 및 금융상담 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고객 10만명당 환산 민원건수를 기준으로 했을 때 은행에선 씨티은행이 10.7건으로 민원이 가장 많았다. 다른 업종에선 KB국민카드(9.9건), KDB생명(145.5건)/메트라이프(42.5건), MG손보(43.1건), 대신증권(9.7건), 동원제일저축은행(5.7건) 등의 민원이 많았다. 지난해 금감원이 접수한 금융 민원은 9만334건으로 전년보다 9.9% 늘었다.

라임·옵티머스 사태 등 사모펀드, 파생상품 민원 증가로 금융투자업(7690건)과 은행업(1만2237건) 금융 민원이 각각 74.5%, 20.6% 증가했다.

특히 은행 민원은 여신(37.7%)이 높은 비중을 차지했고, 예·적금(11.7%), 방카슈랑스·펀드(7.8%), 인터넷·폰뱅킹(6.9%) 순이었다.

보험업(생보 2만1170건·손보 3만2124건)과 비은행업(1만7113건)의 민원은 1년 전보다 각각 4.1%, 3.9% 늘었다. 비은행의 경우 부당 채권추심 관련 민원(26.1%↑)이 많이 증가함에 따라 대부업 민원이 전년보다 13.6% 늘었다.

인구 10만명당(환산 기준) 연간 민원 건수는 평균 143.7건이었다.

경제 활동이 활발한 30대가 313.2건으로 가장 많았고, 40대(220.2건), 50대(166.7건), 20대(160.3건), 60대 이상(77.1건) 순이었다. 20대 금융소비자(대학생, 사회초년생 등)는 보험 상품에 대한 불완전판매 관련 민원을 상대적으로 많이 제기했다. 이는 20대가 인터넷·모바일 등 비대면 매체를 통한 상품 가입에 비교적 익숙하나 금융거래 경험이 적어 보험에 대한 이해도가 높지 않은 상태에서 가입했기 때문으로 보인다고 금감원은 풀이했다. 보험은 20∼30대의 민원이 많았지만, 은행과 금융투자는 중장년층의 민원이 상대적으로 많았다.

민원 평균 처리 기간은 29일(일반 민원 14.4일, 분쟁 민원 58.7일)로 전년 대비 4.2일 증가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해외금리 연계 파생결합펀드(DLF), 사모펀드 관련 대규모 분쟁 민원 발생으로 은행권 분쟁 민원의 평균 처리 기간이 늘어났다"고 설명했다. 민원 수용률은 36.8%로 1년 전보다 0.4%포인트 늘었다. 김현동기자 citizenk@dt.co.kr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