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ere's the 'G' in ESG (KOR)

2021. 4. 7. 19:3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올해 경영계의 최대 화두는 단연 ESG다.

연초부터 이재용, 최태원, 정의선, 신동빈, 김승연 회장 등이 예외 없이 강조한 게 ESG 강화다.

이미 영국이나 독일, 스웨덴 등에서 연기금이 투자해 높은 수익을 낸 기업들이 ESG에 강한 것으로 드러나면서 여러 기업으로 퍼져 정착해 있다.

ESG가 한 철 유행에 그치지 않고 기업의 체질을 개선하고 가치를 상승시키려면 G의 강화, 이사회부터 제자리로 돌려놔야 한다.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This year's buzzword is ESG. From the beginning of the year, Samsung Group de facto head Lee Jae-yong, SK Group Chairman Choi Tae-won and Lotte Group Chairman Shin Dong-bin all emphasized the need to strengthen ESG without an..

CHANG CHUNG-HOON The author is the head of the industry 1 team of the JoongAng Ilbo.

This year’s buzzword is ESG. From the beginning of the year, Samsung Group de facto head Lee Jae-yong, SK Group Chairman Choi Tae-won and Lotte Group Chairman Shin Dong-bin all emphasized the need to strengthen ESG without an exception.

ESG is a new management strategy aimed at enhancing corporate value and pursuing sustainable development based on environmental soundness, social responsibility, and transparent governance.

Companies that have invested in pension funds and reported high earnings in the UK, Germany and Sweden have been revealed to be strong in ESG, and the culture is spreading to many companies. In Korea, the Financial Services Commission requires an ESG notice for all listed companies with more than 2 trillion won in assets from 2025. ESG is no longer an option.

However, in the ESG strategies pursued by Korean companies, ‘G’ is severely lacking. In contrast, the World Economic Forum emphasizes G from the three axes of ESG the most. It strongly recommends Korean companies reform practices such as the CEO serving as chairman of the board of directors and the board merely rubber-stamping orders. It is still a widely condoned practice for CEOs to appoint retired high-level officials, judges, prosecutors or professor to the board and using them as lobbyists to the government or the National Assembly.

As a result, corporate boards have lost the original function of checking on the management and haven’t shaken off the dishonor of being a rubberstamping device or sidekick. In fact, 227 boards of the listed subsidiaries of 64 conglomerates passed 99.5 percent of their 6,716 agenda items without modification. In the subsidiaries of Hyundai Motors, Posco, GS and Hyundai Heavy Industries, there was not a single opposition.

No matter how Korean companies pursue ESG, they cannot attain the whole purpose if they miss the G. In fact, new management strategies have emerged, become fashionable for a while, and disappeared. Workers have all heard of “synergy” in the 1960s, “global standards” in the 1990s, “6 Sigma Movement” in the 2000s and “sustainability” and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fter the 2008 global financial crisis. Each time, some companies had synergy, became global standards and grew to fulfil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But others only remember them as slogans on the bulletin board.

Will the ESG management strategy transform Korean companies? If ESG is going to be more than just a passing fad and improve corporate health and value, the G needs to be reinforced, starting with the board of directors.

'거수기' 이사회 놔두고 ESG경영? 장정훈 산업1팀장

올해 경영계의 최대 화두는 단연 ESG다. 연초부터 이재용, 최태원, 정의선, 신동빈, 김승연 회장 등이 예외 없이 강조한 게 ESG 강화다. ESG는 환경적 건전성(Environment)과 사회적 책임(Social), 투명한 지배구조(Governance)를 바탕으로 기업 가치를 높이고 지속가능발전을 추구하는 새로운 경영 전략이다. 이미 영국이나 독일, 스웨덴 등에서 연기금이 투자해 높은 수익을 낸 기업들이 ESG에 강한 것으로 드러나면서 여러 기업으로 퍼져 정착해 있다. 국내에서도 금융위원회가 2025년부터 자산 2조원 이상 상장사의 ESG 공시를 의무화하면서 우리 기업도 ESG는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됐다.

하지만 국내 기업이 추진 중인 ESG 전략에서는 유독 G가 보이지 않는다. 이와 달리 세계경제포럼(WEF)은 ESG의 3개 축 중 G를 가장 강조한다. 그래서 우리 기업에도 G 강화를 위해 대표이사의 이사회 의장 겸직이나 거수기 노릇 하는 이사회를 개혁할 것을 강력히 권고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 기업 중 상당수는 아직도 대표이사가 퇴직 고위 공무원이나 판·검사, 교수 중에서 이사 선임하는 걸 당연시하고, 또 그들을 대관이나 대국회 로비스트로 활용하는 구조를 바꾸지 않고 있다. 그 결과 기업의 이사회는 경영진 견제라는 본래의 기능을 잃은 채 거수기라거나 들러리라는 오명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실제로 지난해 64개 대기업 상장계열사 277곳의 이사회에 올라온 안건 6716건 중 99.5%가 원안대로 통과했다. 반대는 단 33건(0.5%)뿐이었다. 현대자동차·포스코·GS·현대중공업그룹 계열사에선 반대가 단 한 건도 없었다.

우리 기업들이 ESG에 아무리 매달려도 G를 빠뜨린다면 온전한 목적을 달성할 수 없다. 사실 새로운 경영 전략은 시대마다 등장해 유행하다 사라지곤 했다. 직장인이라면 한 번쯤 들어 봤을 '시너지'(1960년대 등장), '글로벌 스탠다드'(90년대), '6시그마'(2000년대), '지속가능성'·'CSR'(사회적 책임·2008년 금융위기 이후) 등이다. 그때마다 어느 기업은 시너지를 냈고, 글로벌 스탠다드에 올랐고,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기업으로 성장했다. 또 다른 기업은 그저 사내 게시판에 어느 순간 붙어있던 단어로만 기억할 것이다.

ESG 경영 전략은 우리 기업을 변화시킬 것인가, 아니면 또 하나의 기억 속의 단어로 남을 것인가. ESG가 한 철 유행에 그치지 않고 기업의 체질을 개선하고 가치를 상승시키려면 G의 강화, 이사회부터 제자리로 돌려놔야 한다.

Copyright © 코리아중앙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