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페트병 재활용한 유니폼..CJ대한통운, 현장직원 배포

장우진 2021. 4. 7. 17:0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CJ대한통운은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해 만든 친환경 'ECO+ 유니폼' 2000 벌을 현장 직원에게 배포했다고 7일 밝혔다.

이 유니폼은 500㎖ 폐페트병을 재활용한 원사로 제작됐고, 1벌당 폐페트병 14개가 들어갔다.

유니폼 2000 벌에 활용된 폐페트병은 총 2만8000 개로, 이는 소나무 560그루가 1년간 흡수하는 이산화탄소량(약 1680㎏)을 감축하는 효과를 낳는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CJ대한통운 친환경 'ECO+ 유니폼' <CJ대한통운 제공>

CJ대한통운은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해 만든 친환경 'ECO+ 유니폼' 2000 벌을 현장 직원에게 배포했다고 7일 밝혔다. 이 유니폼은 500㎖ 폐페트병을 재활용한 원사로 제작됐고, 1벌당 폐페트병 14개가 들어갔다. 유니폼 2000 벌에 활용된 폐페트병은 총 2만8000 개로, 이는 소나무 560그루가 1년간 흡수하는 이산화탄소량(약 1680㎏)을 감축하는 효과를 낳는다.

페트병 1개를 처분할 때 발생하는 탄소 배출량은 약 60g이다.

CJ대한통운 관계자는 "민간 기업에서 업사이클링 의류를 실제 현장 유니폼으로 상용화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말했다.

유니폼 앞면에는 어린이 교통안전 캠페인을 상징하는 안전지킴이 인증 마크와 유엔 지속가능개발목표(UN SDGs) 협회 마크를 표시해 '환경과 안전을 지키는 딜리버리' 이미지를 표현했다.장우진기자 jwj17@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