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비트코인 채굴 79%가 중국서..中, 탄소 중립 목표에 차질

베이징=김기용 특파원 2021. 4. 7. 16:2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암호 화폐인 비트코인 채굴 때문에 2060년까지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제로(0)'로 만들겠다는 중국의 탄소 중립 목표가 차질을 빚을 수 있다고 AFP통신 등이 6일 보도했다.

중국과학원(CAS) 연구팀 등의 연구 결과에 의하면 현재 상황을 방치하면 중국 비트코인 업계는 올해부터 2024년까지 약 1억3050만 톤의 이산화탄소를 배출할 것으로 추정된다.

중국은 돈세탁 등을 막기 위해 2019년 비트코인을 포함한 모든 암호화폐 거래를 금지했지만 채굴은 허용하고 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중국 쓰촨성에 위치한 암호화폐 채굴장 내부와 외부 모습. /사진=마이드라이버
암호 화폐인 비트코인 채굴 때문에 2060년까지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제로(0)’로 만들겠다는 중국의 탄소 중립 목표가 차질을 빚을 수 있다고 AFP통신 등이 6일 보도했다. 인건비와 전기세가 저렴하다는 이유로 지난해 4월 기준 세계 비트코인 채굴의 79%가 중국에서 이뤄지고 있다. 많은 양의 전기가 필요한 채굴 작업의 특성 상 탄소 발생 급증이 불가피하며 이것이 당국의 친환경 노선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과학원(CAS) 연구팀 등의 연구 결과에 의하면 현재 상황을 방치하면 중국 비트코인 업계는 올해부터 2024년까지 약 1억3050만 톤의 이산화탄소를 배출할 것으로 추정된다. 각각 이탈리아, 사우디아라비아의 1년 치 탄소 배출량과 비슷한 양이다. 중국은 돈세탁 등을 막기 위해 2019년 비트코인을 포함한 모든 암호화폐 거래를 금지했지만 채굴은 허용하고 있다.

문제의 심각성을 인지한 당국은 중국 내 최대 비트코인사업 거점인 네이멍구 자치구의 채굴지를 이달 말까지 전면 폐쇄하기로 했다. 중국이 암호화폐 채굴장을 공개 폐쇄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최근 비트코인 가격이 급등함에 따라 ‘대박’을 노리는 업체들이 워낙 많아 이 조치가 얼마나 효과를 발휘할지 알수 없다. 일각에서는 네이멍구를 규제하면 윈난성 등 다른 지역으로 비트코인 채굴장이 옮겨갈 뿐이라고 지적했다.

베이징=김기용 특파원 kky@donga.com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