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지의 일상이 詩였소.. 동상면 사람들 꿈 담아낸 '동상이몽'

임송학 2021. 4. 7. 14:0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영감 산자락에 묻은 지 수년 지나/백 살에 초승달 허리 이마 주름 뒤덮는데/왜 어찌 날 안 데려가요이, 제발 후딱 데려가소, 영감/ 올해 101세인 전북 완주군 동상면 주민 백성례 할머니가 일찍 떠나간 남편을 그리며 쓴 '영감 땡감'이라는 시는 주민들에게 큰 울림을 줬다.

산세가 험해 전국 8대 오지 가운데 하나로 알려진 완주군 동상면 주민들의 고된 삶과 구구절절한 사연이 한 권의 시집으로 탄생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완주 박병윤 면장, 주민채록 시집 발간
강행군에 입원까지.. 윤흥길 작가 도와
시집 발간을 위해 발로 뛴 박병윤(왼쪽) 동상면장과 서평을 써 준 윤흥길 작가가 ‘동상이몽’ 시집을 들고 나란히 포즈를 취하고 있다.완주군 제공

영감 산자락에 묻은 지 수년 지나/백 살에 초승달 허리 이마 주름 뒤덮는데/왜 어찌 날 안 데려가요이, 제발 후딱 데려가소, 영감/ 올해 101세인 전북 완주군 동상면 주민 백성례 할머니가 일찍 떠나간 남편을 그리며 쓴 ‘영감 땡감’이라는 시는 주민들에게 큰 울림을 줬다.

산세가 험해 전국 8대 오지 가운데 하나로 알려진 완주군 동상면 주민들의 고된 삶과 구구절절한 사연이 한 권의 시집으로 탄생했다.

완주군은 7일 국내 처음으로 지역 주민들의 이야기를 시로 승화시킨 ‘주민채록 시집’인 ‘동상이몽: 홍시 먹고 뱉은 말이 시가 되다’를 만들었다고 밝혔다. ‘동상이몽’은 동상면의 두 가지 꿈을 뜻한다. 첫 번째 꿈은 동상 100년 역사 찾기, 두 번째 꿈은 동상주민의 예술가 만들기다.

270쪽의 이 시집은 ‘호랭이 물어가네’, ‘다시 호미를 들다’ 등 6부로 구성됐다. 다섯 살배기 박채언 어린이부터 100세 어르신까지 말문을 연 이 시집은 주민들이 함께 울고 웃으며 만들어 낸 생생한 삶의 이야기를 담아냈다.

시집이 나오기까지 공무원 시인 박병윤 동상면장의 노력이 컸다. 박 면장은 동네 어르신들을 직접 찾아다니며 살아온 이야기를 듣고 기록해 시로 승화시켰다. 코로나19로 주민들이 외지인과 만나는 것을 꺼리는 분위기를 감안해 직접 나섰다. 완주군 소양면에 귀촌한 윤흥길(79) 작가도 편집을 돕고 서평을 써 시집의 품격을 높였다. 6개월 강행군으로 탈진해 두 번이나 병원 신세를 진 박 면장은 “가슴속 깊이 맺힌 어르신들의 구구절절한 사연이 어느 시보다 깊은 감동으로 다가왔다”면서 “시집의 주인공은 바로 동상면 주민”이라며 환하게 웃었다.

박성일 완주군수도 “시를 읽는 동안 아픔들이 송곳처럼 가슴을 찌르는 것 같아 울먹였다”며 “이제 동상면은 시인의 마을이 됐고 주민 모두가 살아온 삶이 시꽃으로 피어나 그 꽃향기가 오래도록 퍼져 나가길 소망한다”고 말했다. 출판기념회는 오는 14일 동상면 학동마을 여산재에서 열린다.

완주 임송학 기자 shlim@seoul.co.kr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