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에 김치·라면 날개 돋힌듯..농식품 수출 1분기 역대 최대

이명철 2021. 4. 4. 11: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코로나19로 건강식품과 집밥에 대한 수요가 늘면서 농식품 수출이 호조를 보이고 있다.

대표적인 건강식품인 인삼은 미국·베트남·중화권을 중심으로 수출 물량이 크게 늘었다.

대표 간편식인 라면은 세계 각국에서 가정식 수요로 관심 받으며 전년동기대비 18.9% 증가한 1억5700만달러를 수출했다.

한식 열풍이 이어지면서 고추장 치킨 등 한국소스를 사용한 제품의 수요가 크게 늘면서 장류 수출액은 같은기간 17.1% 늘어난 2500만달러를 기록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농식품 수출액 19억8100만달러, 전년대비 13.7% 증가
건강식품 김치 54% 증가..딸기·포도·인삼 등도 수출 호조

[세종=이데일리 이명철 기자] 코로나19로 건강식품과 집밥에 대한 수요가 늘면서 농식품 수출이 호조를 보이고 있다. 특히 건강식품이라는 인식 확산에 힘입은 김치와 대표적인 간편식인 라면의 성장이 두드러진다.

4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올해 1분기 누계(잠정) 농식품 수출액은 19억8100만달러(약 2조2300억원)로 전년동기대비 13.7% 증가했다. 이는 3월까지 누계 기준 역대 최고 실적이다.

서울 한 대형마트에서 김치가 진열돼 있다. (사진=연합뉴스)
신선 농산물 수출액은 3억5900만달러로 같은기간 9.3% 증가했다.

김치(4660만달러) 수출이 54.4% 급증한 것을 비롯해 딸기(3890만달러) 29.2%, 포도(720만달러) 49.7%, 인삼(5730만달러) 9.6% 각각 증가했다.

건강식품으로 인식이 확산 중인 김치는 미국 월마트·코스트코 등 대형유통매장 신규 입점을 확대하고 있고 일본내 가정식 수요도 증가세다. 대표적인 건강식품인 인삼은 미국·베트남·중화권을 중심으로 수출 물량이 크게 늘었다.

딸기는 주력 시장인 홍콩·싱가포르 수출이 호조를 보이고 태국·베트남·인도네시아 등 신남방 국가 소비자에게 인기를 끌고 있다. 포도(샤인머스켓)는 저온 유통체계 구축과 품질·안전성 관리를 통해 프리미엄 과일로 자리잡으면서 중국·베트남에서 수요가 늘었다.

가공식품 수출액은 1년 전보다 14.7% 증가한 16억2200만달러를 기록했다. 대표 간편식인 라면은 세계 각국에서 가정식 수요로 관심 받으며 전년동기대비 18.9% 증가한 1억5700만달러를 수출했다.

음료는 알로에·바나나 등 과일음료와 견과류·쌀이 함유된 식물성 음료, 기능성 음료 등의 수출 호조에 힘입어 수출액이 전년동기대비 16.8% 증가 1억1200만달러를 기록했다.

한식 열풍이 이어지면서 고추장 치킨 등 한국소스를 사용한 제품의 수요가 크게 늘면서 장류 수출액은 같은기간 17.1% 늘어난 2500만달러를 기록했다.

국가별로는 신남방 지역 수출액이 전년동기대비 24.0% 늘어난 4억5700만달러로 전체 수출액 23.1%를 차지했다. 드라마 등 한류 콘텐츠로 한국 식품에 대한 소비자 선호가 높아졌기 때문이라는 판단이다.

중국은 경기 회복과 소비 심리 상승, 춘제 등의 영향으로 2억9200만달러를 수출해 같은기간 22.3% 증가했다. 미국 수출액은 21.3% 늘어난 3억1700만달러다.

신북방도 최대 수출국인 러시아의 경기 회복 영향으로 전년동기대비 26.1% 증가한 7200만달러의 수출 실적을 올렸다. 반면 일본은 코로나19에 따른 긴급사태선언 등 전체 소비가 줄면서 전년동기대비 6.8% 감소한 3억1600만달러에 그쳤다.

노수현 농식품부 식품산업정책관은 “코로나19로 변화한 소비·유통 환경에 대응해 고품질의 안전한 농식품 생산체계를 구축하고 현지 맞춤형 제품 개발과 온라인 비대면 마케팅 효과”라며 “지속적인 농식품 수출 확대를 위해 품목·국가별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홍보·마케팅을 적극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그래픽=이데일리 이동훈 기자]

이명철 (twomc@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