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 전기차 배터리 시장, 국내 3사 점유율 축소

박정규 2021. 4. 3. 09:3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올해 1∼2월에 글로벌 전기차(EV·PHEV·HEV)용 배터리 시장에서 국내 배터리 업체 3곳의 점유율이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SNE리서치에 따르면 지난 1∼2월 세계 각국에 차량 등록된 전기차의 배터리 에너지 총량은 25.2GWh로 전년 동기(12.5GWh) 대비 102.4% 증가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지난해 1∼2월 3.3GWh에서 올해 같은 기간 4.8GWh로 45.8%의 성장률을 보였지만 점유율로는 26.6%에서 19.2%로 하락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뉴시스] 연간 누적 글로벌 전기차용 배터리 사용량.(표=SNE리서치 제공) 2021.3.31 photo@newsis.com

[서울=뉴시스] 박정규 기자 = 올해 1∼2월에 글로벌 전기차(EV·PHEV·HEV)용 배터리 시장에서 국내 배터리 업체 3곳의 점유율이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SNE리서치에 따르면 지난 1∼2월 세계 각국에 차량 등록된 전기차의 배터리 에너지 총량은 25.2GWh로 전년 동기(12.5GWh) 대비 102.4% 증가했다. 지난해 3, 4분기에 이어 올해 초에도 전기차 판매 회복세가 이어지고 있는 양상이다.

특히 1위 CATL과 4위 BYD 등 중국계 업체들이 전체 시장의 성장세를 주도했다. CATL은 지난해 1∼2월 2.1GWh에서 올해 같은 기간 8.0GWh로 늘어 272.1%의 성장률을 기록했다. 점유율도 지난해 17.3%에서 올해 31.7%로 확대됐다.

BYD도 지난해 1∼2월 0.4GWh에서 올해 1.8GWh로 401.8% 성장했다. 점유율은 2.8%에서 7.0%로 늘었다.

LG에너지솔루션과 삼성SDI, SK이노베이션 등 국내 업체들은 각각 2위와 5위, 6위를 기록해 모두 톱10 안에 들었다.

그러나 점유율은 일제히 하락세를 보였다. LG에너지솔루션은 지난해 1∼2월 3.3GWh에서 올해 같은 기간 4.8GWh로 45.8%의 성장률을 보였지만 점유율로는 26.6%에서 19.2%로 하락했다.

삼성SDI의 경우 같은 기간 1.1GWh에서 1.3GWh로 23.8%의 성장률을 기록하면서 점유율은 8.6%에서 5.3%로 떨어졌다. SK이노베이션은 0.7GWh에서 1.3GWh로 69.0% 성장했지만 점유율은 6.0%에서 5.0%로 낮아졌다.

이들 3개사 중 LG에너지솔루션과 SK이노베이션은 지난해 같은 기간과 순위가 같았지만 삼성SDI의 경우 순위가 한 계단 내려갔다.

LG에너지솔루션은 주로 테슬라 모델3(중국산), 테슬라 모델Y(중국산), 폭스바겐 ID.3 등이 판매된 점이 반영됐고 삼성SDI는 아우디 E-트론 EV와 피아트 500, SK이노베이션은 기아 니로 EV와 메르세데스 벤츠 GLE PHEV 등의 판매가 반영됐다.

일본계인 파나소닉 역시 지난해 1∼2월 2.8GWh에서 올해 같은 기간 4.3GWh로 54.4%의 성장률을 기록하면서 점유율은 22.5%에서 17.2%로 낮아졌다.

한편 지난달 글로벌 전기차 배터리 사용량은 11.2GWh로 전년 동월 대비 108.8% 증가했다. 코로나19로 인해 위축됐던 시장 수요가 8개월째 회복세를 이어갔다. 지역별로는 중국과 미국, 유럽시장이 모두 증가한 가운데 중국계 업체들이 세 자릿수 이상의 성장세를 보였다.

SNE리서치 측은 "지난해 전 세계적인 코로나 사태 속에서도 꾸준히 선방해오던 한국계 3사가 2021년 들어서는 중국계 업체들의 공세에 다소 밀리는 상황"이라며 "당분간 중국 시장의 회복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비중국 지역에서 CATL을 필두로 한 중국계 업체들의 거래선 확장이 점차 가시화되면서 글로벌 경쟁 여건이 앞으로 더욱 험난해질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pjk76@newsis.com

Copyright ©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