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질게 살아남은 바위 틈 소나무..절벽서 40m 오르락내리락 찍었다

김홍준 2021. 4. 3. 00:21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화가인 남편이 말했다. 예술가로도 한번 살아보라고. 고민의 시간은 짧았다. 그러마 했다. 배낭 메고 산과 들로 나서던 여자는 2000년부터 카메라를 자신의 짐에 더했다. 15㎏이 넘는 장비를 두르고 바위에 올랐다. 사진 각도를 잡기 위해 목에, 배에, 발가락에 힘을 주고 버텼다. 근육이 부풀고 호흡이 들썩거렸다. 그 순간 그는 ‘내가 살아있구나’ 느낀단다.

강레아 작가는 암벽 등반을 하며 설악산 소토왕골 절벽에 솟은 이 소나무를 찍었다. [사진 강레아]
80m 절벽 위, 자신의 발 저만치 아래 클라이머들을 찍었다. ‘살아남으려’ 몰입하는 그들의 눈동자는 되레 초점을 잃고 다른 세상을 접하고 있었다. 자연으로 살아남으려는 바위를 카메라에 담기도 했다.

강레아(53). 우리나라 최초이자 유일한 여성 클라이밍 사진작가다. 7일부터 서울 인사동 갤러리 밈에서 7번째 개인전을 갖는다. 삶을 이어가기 위한 ‘의지의 발현’은 여전히 그의 테마다. 이번엔 소나무다. 정원수로, 가로수로 평온한 삶을 영위하는 그런 소나무가 아니다. 바위틈에 깃들어 모질게 살아가는 소나무다.

“흙 한 줌 없는 알바위 미세한 틈에 내려앉은 솔씨가 포기하지 않고 들숨 날숨, 마침내 하나의 존재로 자라납니다. 친구처럼, 부부처럼, 소나무의 부드러운 품성이 바위에 갔고, 바위의 단단함이 소나무에 갔습니다. 둘이 하나가 된 것이죠.”
북한산 바위 틈을 꿰차고 우뚝 선 소나무. 소나무는 푸르되, 흑백으로 사진을 찍은 이유에 대해 강레아 작가는 "수묵화 같은 흑백은 우리나라 풍경을 가장 잘 담을 수 있다"고 말했다. [사진 강레아]
팬데믹·청년실업·영끌…. 포기를 만들고, 포기가 만드는 현재의 것들. 자연에 머무르려면 강해져야 하는데, 소나무는 포기하지 않아서 바위가 자리를 열어줬다는 게 작가의 말이다. 세상에 대한 의지의 발현이다.

바위에 깃든 소나무에 주목한 계기는 1990년대 후반, 인수봉에서 뿌리가 드러난 소나무를 보았을 때였다. 며칠 뒤 흙 한 포대 짊어지고 올라가 뿌리를 덮어줬다. 턱도 없는 양이었지만.

“소나무를 보면 위에서 찍을 건가, 옆에서 찍은 건가, 건너편에서 찍을 건가 정한 뒤 바위 꼭대기에서 로프를 풀어 하강하면서 촬영합니다. 그리고 다시 올라가 걸어 내려오죠. 절벽에서 30~40m는 기본으로 오르락내리락해요.”

도봉산의 한 절벽에 깃든 이 소나무는 척박한 곳에서 어떻게 살아남았을까. 강레아 작가는 '의지의 발현'이라고 말했다. [사진 강레아]
그의 몰입은 지독하다. 안전 확보만 되면 시간 가는 줄 모른다. 2006년 1월 설악산 토왕성 폭포 빙벽에서 24시간 매달려 촬영하다가 탈진하기도 했다. 주변에서 걱정하지 않을까. 강 작가는 “엄마가 말리기는 했는데, 지금은 잘 살아왔다고 하시더라”고 말했다.

소나무는 푸르되 그의 모든 작품은 흑백이다. 수묵화처럼, 흑백은 우리나라 풍경을 가장 잘 표현할 수 있다고 그는 말한다.

강 작가는 사진 찍기 전 바위의 소나무에게 인사를 한다. “‘잘 계셨어요?’라고 하면 묵묵히 있다가 잘 내려가라는 답이 돌아온다”고 했다. 앞서 언급한 인수봉 소나무와는 더 이상 인사를 나눌 수 없다. 2019년 태풍 ‘링링’에 쓰러졌기 때문이다. 그 소나무의 과거와 마지막 모습도 전시장에서 볼 수 있다. 26일까지.
김홍준 기자 rimrim@joongang.co.kr

강레아 사진 작가는 우리나라 최초이자 유일한 여성 클라이밍 포토그래퍼다. [사진 강레아]

Copyright © 중앙SUN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