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을공동체 사업 15년..활성화 '한계'

최지영 2021. 3. 31. 19:53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KBS 부산]
[앵커]

주민이 직접 마을 일을 정하고 추진하는 '마을공동체 사업'으로 부산에는 4백개가 넘는 마을공동체가 생겼습니다.

하지만 일부는 애물단지로 전락하기도 했는데요.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

최지영 기자가 보도입니다.

[리포트]

도시재생사업으로 74억 원의 예산을 투입한 부산의 한 마을공동체.

등록문화재를 복원하고, 주민공동체센터를 지었습니다.

또 도시가스도 설치했습니다.

하지만 개인 부담금을 못 내 도시가스를 연결한 주민은 정작 열 집 남짓.

마을사업으로 추진하고 있는 '역사투어 프로그램'도 1년 넘게 제자리입니다.

시설은 갖췄는데, 관광객 모집과 콘텐츠 제작 등은 엄두를 못 내고 있습니다.

[공경식/소막마을주민공동체센터 사무국장 : "마음은 급한데, 주민들이 사실 따라오기가 힘듭니다. 특히 소막사 일대는 노인분들이많습니다. 70대, 80대. 그리고 또 거의 반이 빈집입니다."]

자치단체도 혼란을 부추깁니다.

산복도로 르네상스, 행복마을 만들기,건강한 마을만들기 등 마을을 살린다며 여러 부서가 한꺼번에 들어와 한 동에만 사업이 20개가 넘습니다.

이른바 '조끼 바꿔입기'입니다.

[김종건/동서대 교수 : "이 사업할 때, 저 사업할 때 다 따로 나가야 하는데 그만큼 사람이 있느냐. 결국, 저 사람이 저 사업할 때는 저 조끼 입고 나가고, 저 사업할 때는 저 조끼 입고 나가고."]

주민이 들러리가 된 사업은 지원이 끊기면 빈 건물만 남아 애물단지로 전락합니다.

수익이 없다보니 주민이 무보수로 일을 해야 해 지속적인 관리도 어렵습니다.

[정승찬/마을 활동가 : "공간을 만드는 기간은 보통 2, 3년인데 실제로 주민들이 그 공간을 운영할 수 있는 주체로 성장하기에는 최소 5년의 기간이 걸린다고 보거든요."]

부산 마을공동체 활성화 예산은 올해만 110억여 원.

정책을 통합하고 주민 주도의 역량을 높이는 지원방안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

KBS 뉴스 최지영입니다.

촬영기자:한석규/영상편집:전은별

최지영 기자 (lifeis79@kbs.co.kr)

Copyright © K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 학습 포함)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