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행은 몇년 못가 쓰레기 돼, 세계 최초..나만의 개념 작업"

CBS노컷뉴스 곽인숙 기자 2021. 3. 20. 07:03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국립현대미술관 '이승택-거꾸로, 비미술' 전, 28일까지
국립현대미술관 '이승택-거꾸로, 비미술'에서 전시 중인 이승택의 '묶기' 연작. 곽인숙 기자
딱딱한 돌을 노끈으로 묶었다.
돌이 노끈에 묶이다니, 묶인 돌은 한 손으로 들 수 있을 듯하다.
황금빛 여체(女體)도 온몸을 노끈이 휘감고 있다.

어쨌든 나의 줄 작업(作業)은 한 매듭 한 매듭 덩리이 응결을 위하여 묶고, 감으며, 풀어주며 애를 태울 것이며 이러한 도전은 금방 새로운 것을 토해낼 것 같은 기쁨과 슬픔이 엉켜있는 채찍에 쫓기며 아무도 없는 허공을 향해 소리칠 것이다. 모든 것을 버려라, 그러면 미지(未知)의 세계가 열리고 아름다움이란 그것을 버릴 때 완성된다고….
-이승택, '내 비조각의 근원', 『공간』, 155, (5월 1980), pp. 38-39.

이승택 작가는 "'줄 묶기'는 기존의 고정관념을 바꿔내는 작업이다. 노끈을 감아 딱딱한 돌이 물렁물렁하게 바뀌어지는 것으로, 세계 최초다. 우리도 외국 사조에서 유행한 걸 흉내내곤 했는데, 나는 그 유행이 몇 년 못 가 쓰레기가 된다고 생각했다. 노끈을 감는 등 남이 하지 않는 나만의 개념적인 작업을 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노끈에 묶인 살이 실제처럼 움푹 들어간 듯 보이는 이 작품은 작가의 '묶기' 기법을 대표하는 작업이 됐다. 우리 실험미술을 대표하는 거장 이승택(88)의 시대를 앞서간 작품들이다. 이승택은 1950년대 이후 현재까지 설치, 조각, 회화, 사진, 대지 미술, 행위 미술을 넘나들며 왕성한 실험과 도전을 계속해왔다.

국립현대미술관 서울에서 이승택의 60여 년 작품 세계를 조명하는 대규모 회고전 '이승택-거꾸로, 비미술'전을 28일까지 개최한다. 전시명 '이승택-거꾸로, 비미술'은 모든 사물과 관념을 뒤집어 생각하고 미술이라고 정의된 고정관념에 도전해온 그의 예술세계를 함축한다.

이번 전시는 미술과 비미술의 경계를 허물어온 이승택의 작품 250여 점을 선보인다.

국립현대미술관 '이승택-거꾸로, 비미술'에서 전시 중인 이승택의 '무제'(1981-2018), 곽인숙 기자
이승택은 1960년대부터 전통 옹기를 비롯해 비닐, 유리, 각목, 연탄재 등 일상 사물들로 새로운 재료 실험에 나섰다. 대형 옹기 6개를 탑처럼 쌓아 올린 작품 '성장(오지탑)' 등은 당시 기성 조각의 문법에서 벗어난 파격적인 설치 방식을 보여준다. 1970년 전후에는 바람, 불, 연기 등 비물질적인 요소들로 작품 제작을 시도하고, 상황 자체를 작품으로 삼는 '형체 없는 작품'을 실험했다.

또 돌, 여체 토르소, 도자기, 책, 고서, 지폐 등을 노끈으로 묶는 '묶기' 연작을 통해 사물의 고유한 의미와 가치를 새롭게 바라봤다. 기성 미술에 대한 끊임없는 도전은 1980년 무렵 '비조각'이라는 개념으로 정립된다. 1980년대 중반 이후에는 사회, 역사, 문화, 환경, 종교와 성, 무속 등의 주제를 다루며 퍼포먼스, 대형 설치, 사진 등으로 영역을 넓혀 나갔다.

국립현대미술관 '이승택-거꾸로, 비미술'에서 전시 중인 이승택의 '정림건축 구사옥 해체 이벤트' (1995). 국립현대미술관 제공
'정림건축 구사옥 해체 이벤트'(1995) 영상도 눈에 띈다. 작가는 1995년, 창립 30주년을 맞은 정림건축이 구 사옥을 철거하며 개최한 '정림건축 구사옥 해체 이벤트'에 참여한다. 당시 미술평론가 김홍희가 기획하고 이승택, 강은엽, 이상현 등의 작가가 참여한 이 퍼포먼스에서 이승택은 곧 해체될 정림 건축 건물의 유리창을 떼어내고 빈 창틀에서 바닥까지 긴 캔버스 천을 설치한 후 물감 주머니를 창틀에 매달아 물감이 캔버스 위로 자연스럽게 흘러내리도록 하는 퍼포먼스를 진행한다. 이 때 퍼포먼스의 결과물로 남겨진 회화는 작가가 인위적으로 그린 완결된 회화라기보다는 행위의 모든 과정을 담아낸 진행형 회화라 할 수 있다.

전시된 작품 중 어떤 작품이 가장 좋은지 묻자 그는, 물을 흘러내리게 하여 그 변화 과정을 고스란히 담은 대작 '물그림'(1995/2020)을 꼽으며 "세계적인 작품으로, 다른 데에서는 볼 수 없는 작품"이라고 했다.

국립현대미슬관 '이승택-거꾸로, 비미술'에서 전시 중인 이승택의 '물그림' 1995(2020). 국립현대미슬관 제공
미술관마당에는 1970년 홍익대 빌딩 사이에 100여 m 길이 푸른색 천을 매달아 바람에 휘날리게 한 '바람'이 재현됐다. 천의 흔들림을 통해 바람을 시각적으로 볼 수 있는 작품이다.

구순을 바라보지만 우렁찬 목소리로 시종일관 에너지가 넘쳤던 거장은 "이 바람 작품은 세계에 하나밖에 없는 거다. 내 나이가 구십이 돼서 몇 년 못산다. 마지막 전시를 여러분이 보고 있는 거다. 영광이다. 이승택의 마지막 전시인 줄 알고 기억해줬으면 좋겠다"고 했다.

▶ 기자와 카톡 채팅하기
▶ 노컷뉴스 영상 구독하기

[CBS노컷뉴스 곽인숙 기자] cinspain@cbs.co.kr

Copyright © 노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