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급호텔도 예외 없다..지난해 53곳 폐업

이성훈 기자 2021. 3. 10. 20:51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찾아오는 손님이 없어서 최근 문을 닫았거나 매물로 나온 호텔들이 늘고 있습니다. 관광객의 발길이 끊기면서, 객실을 계속 운영할수록 더 손해다 보니 더는 버티지 못하는 겁니다. 그 여파로 일자리가 사라지면서 호텔에서 일하던 사람들은 생계마저 위협받고 있습니다.

이 내용, 이성훈 기자가 집중 취재했습니다.

<기자>

서울 명동의 4성급 호텔입니다.

정문은 굳게 닫혀 있고, 이달 1일부터 두 달 동안 휴업한다는 안내문이 붙었습니다.

국내 최초의 민자 호텔인 사보이 호텔도 코로나19를 비껴가지 못했습니다.

[사보이 호텔 관계자 : (지금 영업을 하나요?) 아니요 저희가 지금은 안 하고 있습니다. (언제까지 문을 닫습니까?) 일단 4월 말인데 더 봐야 할 것 같기도 하고….]

가장 큰 이유는 외국인 관광객이 급감한 탓입니다.

[휴업 호텔 관계자 : 관광호텔이라 저희들은 전부 그냥 거의 다 외국인들만 받았거든요. 근데 외국인들이 안 들어오니까 아예 딱 닫혀 버린 거죠.]

지난해 방한 외국인은 전년 대비 무려 85% 줄어, 한 달 평균 관광객으로 보면 중국인 340명, 일본인은 42명에 불과했습니다.

2년 전 휴업 호텔은 9곳에 불과했지만, 지난해에는 49곳으로 늘었고 올해 벌써 26곳 추가됐습니다.

극심한 경영난에 매물로 나오거나 이미 매각된 호텔도 여럿입니다.


지난해 영업을 종료한 호텔만 53곳, 서울 강남의 5성급 호텔인 르메르디앙 서울과 쉐라톤 서울 팔래스 강남도 폐업했습니다.

[폐업 호텔 관계자 : 직원들이 이제 다 이렇게 그만두고 저희는 뭐 똑같은 절차로 다 그만두고 있죠. 실업급여 받게 해주고, 뭐 퇴직금 지급하고 위로금 지급하고….]

숙박객 격감은 물론 비즈니스 수요와 전시 컨벤션 행사가 크게 줄었고 사회적 거리두기 여파로 뷔페와 식음료 시설 영업도 큰 차질을 빚은 결과입니다.

다른 유명 특급호텔들도 큰 타격을 입고 생존을 위해 전력을 다해야 하는 상황이기는 마찬가지입니다.

지난해 호텔신라가 창사 이래 첫 영업적자를 기록했고, 조선호텔, 워커힐호텔 등 모두 수백억 원대의 영업손실을 냈습니다.

그러다 보니 호텔 종사자들도 위기에 몰렸습니다.

7만여 명이었던 국내 호텔업 종사자 수는 지난해 이미 약 1만 7천여 명 정도 일자리를 잃은 것으로 추정됩니다.

정부의 실태조사 결과도 마찬가지였는데, 4명 가운데 1명은 생계를 잃은 겁니다.

매각설이 돌고 있는 한 특급호텔 직원들은 매일 불안합니다.

[원호준/밀레니엄 힐튼 서울 조리사 : 만약에 매각이 되고 나가게 된다면 과연 내가 뭘 해야 되지. 진짜 요새 뭐 치킨집을 해야 되나. 솔직히 잠도 잘 오지 않는 심정입니다.]

비정규직과 중소형 호텔 종사자들에게 피해가 집중될 거라는 우려도 있습니다.

[최대근/관광레저산업노조 위원장 : 특급호텔 중에서도 한 30% 정도가 비정규직일 테고 객실 200개 미만인 호텔들은 거의 99% 이상이 대부분 다 비정규직일 텐데 그분들은 바로 그냥 해고나 계약해지 통보를 받기 때문에….]

집단면역 도달 시기가 불분명해 호텔 업계에서는 올해도 큰 반전은 기대하지 못합니다.

결국 살아남는 게 최우선.

서울 성수동의 이 호텔은 자구책으로 80개 객실 중 4분의 1을 사무실로 바꿔 내놨습니다.

[김찬숙/서울 성수동 호텔 총지배인 : 객실의 수요가 예전만큼은 못하기 때문에 그런 부분들을 해결 하기 위해서 단독형 풀옵션 오피스로 기획해서 판매를 시작했습니다.]

일부 특급호텔은 한 달 동안 호텔에서 생활하는 이른바 '장박' 상품이나, 1박을 하지 않고도 호텔을 이용할 수 있는 '숏캉스', '데이케이션' 같은 이색 상품을 선보이기도 합니다.


정부가 추진 중인 방역 우수국 간 자가격리를 면제하고 여행하는 '트래블 버블'에 희망을 걸어보지만, 연내 실행할 수 있을지 불확실합니다.

[유용종/한국호텔업협회장 : 싱가포르나 대만 등과 우리가 트래블 버블 협정을 맺어서 이런 소수의 여행객들이나마 우리가 받아들인다면 아마도 관광호텔에 큰 도움이 될 것 같은….]

호텔업 종사자들의 대량 실직 사태를 막기 위해 우선 이달 말 종료되는 특별고용지원업종 지원 기간 연장해달라는 요청도 나옵니다.

(영상편집 : 김종태, VJ : 정민구) 

이성훈 기자sunghoon@sbs.co.kr

Copyright ©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