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에..여성 노동자 5명 중 1명 퇴직 경험

이창준 기자 2021. 3. 8. 21:32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여성정책연구원 조사 결과

[경향신문]

여성 5명 중 1명이 코로나19 확산 이후 직장을 그만둔 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고용형태가 임시직·일용직이거나 10인 미만 소규모 사업장에서 근무한 여성의 퇴직 경험 비율이 높았다.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은 8일 세계 여성의날을 맞아 ‘코로나19 1년 여성노동자 일자리 변동 현황’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는 코로나19가 본격 확산한 지난해 3월부터 11월까지 노동 경험이 있는 20~50대 여성 3007명을 대상으로 했다.

응답자 중 20.9%(629명)가 코로나19 확산 이후 퇴직한 경험이 있었다. 퇴직을 경험한 여성 중 절반가량인 48.6%는 임시직·일용직 노동자였다. 10인 미만 사업장에 근무한 비중은 45.8%였다.

20대 여성 노동자에게 코로나19가 미치는 영향은 더 컸다. 같은 기간 20대 여성의 퇴직률은 29.3%로 전체 평균보다 다소 높았다. 20대 여성 4명 중 1명 이상이 코로나19 시기에 일을 그만둔 적이 있는 것이다. 20대 중에서도 고졸 이하 여성의 퇴직률은 44.8%에 달했다.

퇴직한 20대 여성 중 21.9%는 숙박음식점업, 38.3%는 서비스·판매직에 근무한 것으로 집계됐다. 업무 특성상 대면 비율이 높고 재택근무가 힘들어 코로나19 상황에 취약한 직종에 근무했던 것이다.

취약업종이지만 여성 노동자에 대한 정책 지원은 다른 직군에 비해 미미했다. 숙박음식점업 종사 여성 노동자 중 휴업·휴직을 겪은 경우는 76.6%나 됐다. 소득 감소를 겪은 사례는 43.6%였다. 이는 응답자 전체 평균인 46.3%, 29.6%보다 월등히 높은 수준이다. 그러나 실업급여와 고용유지지원금을 받은 사례는 각각 6.1%, 9.7%에 그쳤다. 지원대책 수혜율이 전체 평균인 21.8%, 16.6%에도 못 미치는 것이다.

연구원은 이번 조사 결과를 토대로 20대 여성과 대면업종 여성 노동자 대상 지원 마련을 지적했다.

이창준 기자 jchang@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