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만에 최대로 뛴 밥상물가..1년새 10% 껑충

유효송 기자 2021. 3. 8. 19:5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식품이 인플레이션(물가상승)을 주도하고 있다.

1년 사이 10% 가까이 뛰며 10년 만에 최대 상승률을 기록했다.

━파·사과·고구마 등 가격 급등━8일 통계청 등에 따르면 지난 2월 우리나라의 식품물가 상승률은 전년 동월 대비 9.7%로, 2011년 8월(11.2%) 이후 9년6개월 만에 가장 높았다.

식품물가 상승률(전년 동월 대비)은 지난해 1월(1.8%)까지만 해도 1%대에 머물렀으나 지난해 7월 4.3%로 올라서면서 하반기 들어 상승세가 가팔라졌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뉴스1) 이승배 기자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따른 '집밥 수요' 증가, 조류 인플루엔자(AI), 국제 유가 상승까지. 체감물가가 급등하고 있다. 최근 통계청이 발표한 2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2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07.00(2015=100)으로 전년 동월 대비 1.1% 상승했다. 특히 농축수산물의 경우 전년 동기 대비 16.2%가 오르며 지난 2011년 2월 17.1% 상승 이후 무려 10년만에 최대 상승폭을 기록했다. 8일 서울 시내의 한 대형마트를 찾은 시민들이 장을 보고 있다. 2021.3.8/뉴스1

식품이 인플레이션(물가상승)을 주도하고 있다. 1년 사이 10% 가까이 뛰며 10년 만에 최대 상승률을 기록했다. 아직 코로나19(COVID-19)의 터널에서 완전히 빠져나오지 못했는데 '밥상물가'가 급등하면서 가계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

파·사과·고구마 등 가격 급등
8일 통계청 등에 따르면 지난 2월 우리나라의 식품물가 상승률은 전년 동월 대비 9.7%로, 2011년 8월(11.2%) 이후 9년6개월 만에 가장 높았다.

식품물가 상승률(전년 동월 대비)은 지난해 1월(1.8%)까지만 해도 1%대에 머물렀으나 지난해 7월 4.3%로 올라서면서 하반기 들어 상승세가 가팔라졌다. 이후 식품물가는 8월(6.6%), 9월(8.3%), 10월(8.2%), 11월(6.9%), 12월(6.2%), 올 1월(6.5%)까지 고공행진을 이어왔다.

지난 4일 발표된 통계청의 물가 지표에 따르면 2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07.00(2015년=100)로 전년 동월 대비 1.1% 상승했다. 1년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이다. 농산물 작황 부진과 AI(조류인플루엔자) 피해 영향 등이 겹치면서다. 작황 부진 등으로 농축수산물 가격이 전년 동월 대비 16.2% 급등했다. 2011년 2월(17.1%)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에 올라온 소비자물가지수를 상품별로 분석한 결과, 실제 농축산물을 중심으로 가격이 급증했다. 지난 2월 기준 채소 및 해조 분야에서 파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227.5% 급등해 밥상물가를 밀어올린 주범으로 지목됐다. 이어 같은 기간 양파(71.2%), 사과(55.2%), 배(52.4%), 고구마(49.4%), 복숭아(47.7%) 등이 올랐다.

식탁에서 빠지지 않는 빵 및 곡물에서도 물가 급등세가 나타났다. 콩(16.8%), 쌀(12.9%)이 올랐다. 육류에서는 돼지고기(18%)의 상승폭이 가장 컸고 국산쇠고기(11.2%), 닭고기(8.7%)가 뒤를 이었다.
인플레이션 압력↑ "걱정할 수준 아냐"
전문가들은 통화정책을 바꿀 정도로 급격한 인플레이션이 발생할 단계는 아니라고 진단했다. 물가 상승 압력이 커지면 가계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지만 여전히 한국은행이 설정한 목표보다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조영무 LG경제연구원 연구원은 "원자재와 농산물 등 변수가 많지만 추가 가격 상승은 한계가 있다"며 "경기가 좋아지고 제품 수요가 늘어야 물가가 지속적으로 상승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했다.

김소영 서울대학교 경제학부 교수는 "(한은의) 목표인 2%대를 넘지 않아 우려할 수준은 아니다"라며 "다만 이미 유동성이 많이 풀려 시간을 두고 인플레이션이 나타날 가능성은 남아 있다"고 봤다.

한은이 현재의 완화적 통화정책 기조에서 조금씩 긴축으로 선회할 것이란 전망에 대해 조 연구원은 "내년에도 경기 회복세와 성장세가 지속될 가능성이 있어야 금리인상을 할 수 있다"며 "미국보다는 (금리인상이) 늦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권민아 "중학교 때 성폭행 당해…유명인"고모 도와준다는게…반찬 재사용 생방송한 BJ'제자와 성관계' 교사 "네 아이 임신…폭로하면 낙제"기성용 "법적 책임 물을 준비" vs 변호사 "어서 고소해라""에이프릴 왕따 논란 중 설현을?"…보그 영상 비공개 전환
유효송 기자 valid.song@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