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 만물은 모두 평등"..제주의 봄에 담은 '달관'

전지현 2021. 3. 7. 17:21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왈종 화백 개인전
활짝 핀 매화·동백꽃 속에서
사람보다 큰 새·나비·물고기
"30여 년 제주살이는 극락
사계절 피는 꽃 그리며 행복"
제주 화가 이왈종이 서울 가나아트나인원에 걸린 그림 앞에서 세상을 달관한 듯한 미소를 짓고 있다. [한주형 기자>]
이왈종 화백(76)이 제주의 봄을 가져왔다. 활짝 핀 매화와 동백꽃 속에서 새, 나비, 물고기, 강아지 등이 노니는 작품 20여점을 서울 가나아트나인원, 가나아트사운즈에 펼쳤다.

모두가 즐거워 보이는 그림 속에서 걷고 있는 사람에게 '그럴 수 있다. 그것이 인생이다'라고 씌여진 말풍선을 붙어 있다. 5년 만에 여는 개인전 주제도 '그럴 수 있다-A Way of Life'다.

전시장에서 만난 이 화백은 "코로나19와 혼탁한 세상에 충격을 받은 마음을 정리하면서 떠올린 말이다"며 "요즘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모두 이상하다. 부동산 가격도 너무 많이 오르고, 처음 보는 현상이 많다"고 털어놨다.

그는 세상이 하도 험악해서 매화 나뭇가지 위에 집과 자동차, 고기잡이배를 열매처럼 맺게 그리는 등 경계를 허물었다고 한다. 1991년 추계예대 교수직을 내려놓은 후 제주 서귀포에 미술관과 작업실을 짓고 살고 있지만 세상과 담 쌓기는 쉽지 않은가 보다.

`제주생활의 중도`. [사진 제공 = 가나아트]
마음이 탁해지면 좋은 작품을 그릴 수 없어 참선 하듯이 살고 있다. 대인관계에서 오는 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해 금~토요일 저녁에만 지인을 만난다. 그는 "이발소 그림이라도 관객을 즐겁게 해줘야 한다"는 겸손과 배려가 담긴 지론을 갖고 있다. 부정적 감정을 긍정으로 녹이고 삶과 죽음을 화합한 그림 '제주생활의 중도(中道)' 연작을 그린다. 불교 사상 중도를 통해 자연과 인간을 하나로 보고 한쪽에 치우치지 않는 삶을 지향한다.

작품에 등장하는 이미지들에 대해 그는 이렇게 설명하다. "사랑과 증오는 결합하여 연꽃이 되고, 후회와 이기주의는 결합하여 사슴이 된다. 충돌과 분노는 결합하여 나르는 물고기가 된다. 행복과 소란은 결합하여 아름다운 새가 되고, 오만함과 욕심은 결합하여 춤이 된다."

득도(得道)의 경지와 동시에 어린아이 같은 동심(童心)이 작품에 가득하다. 제주도에서 16년 동안 어린이들에게 무료 강의를 하면서 동심을 지켜오고 있단다. 그래서일까. 그의 그림에서 새와 나비가 사람보다 더 크다.

"인간 중심으로 보면 새는 작지만, 새 입장에서 보면 그들이 최고에요. 새의 마음으로, 나비 마음으로 크게 그려요. 원근법을 사용하면 안돼요. 차별 없이 인간과 모든 만물이 하나가 됨을 보여줍니다."

제주생활의 중도
행복이 전해오는 그의 그림 속에 들어가 살고 싶다고 하자 "저 속에도 갈등도 있다. 저 남자는 골프 치러 간다고 아내에게 야단맞고 있다"며 웃었다. 골프를 즐기는 그의 모습인 듯 하다. 제주 골프장을 자주 그리는 그의 골프 실력은 여전한지 묻자 "이제 맛이 갔다. 걷고 농담하러 간다"고 답했다.

갤러리 창너머 햇살에 그의 그림들이 유난히 반짝거린다. 금박을 화면에 붙인 효과다. 이 화백은 "재료비는 많이 들지만 금이 좋은 기운을 준다. 좀 더 잘 팔릴까 해서 발악하는 것이다"며 빙그레 웃었다.

그는 한지 장인 장용운이 만든 장지에 그림을 그린다. 캔버스도 시도해봤지만 깊은 맛이 나지 않았다고 한다. 그는 "천은 삭지만 한지는 1000년을 넘긴다"고 말했다.

지금도 작업실에 들어가면 긴장하는 이 화백은 "3D업종이다. 내 그림은 선(線) 중심이고 채색이 아주 까다로워 누굴 시킬 수 없다"고 했다.

그간 개인전이 뜸했던 이유를 묻자 "이제 늙어서 하면 안된다. 코로나19로 사람도 못 모이는데 무슨 전시를 하느냐고 생각했는데 20여점만 그리면 된다고 해서 결심했다"고 말했다.

제주생활의 중도
이번 전시로 모처럼 서울 나들이를 나섰지만 그는 "제주로 빨리 내려가고 싶다"고 했다. 그새 서울의 많은 친구들이 저 세상으로 가서 할 일이 없다.

"제주에는 줄 서서 나를 기다리는 사람들이 있는데, 여기는 막걸리 한 잔 나눌 만한 벗이 없네요. 역시 제주가 극락이에요. 계절마다 항상 올라오는 꽃을 보고 그려요."

그렇게 말하는 이 화백의 얼굴에서 삶의 희로애락이 동시에 전해왔다. 전시는 28일까지.

[전지현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