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이 있는 도서관] 내면의 나와 함께 완성한 그림.. 그 자체로 예술

채민기 기자 2021. 3. 6. 03:03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내면의 그림

루트 암만, 베레나 카스트, 잉그리트 리델 지음ㅣ박경희 옮김ㅣ뮤진트리ㅣ244쪽ㅣ3만원

푸른 괴물의 안광(眼光)이 강렬하다. 작가는 정신분석학자 융(1875~1961)의 환자였던 50대 여성. ‘A.’로 불린 그녀가 치료 목적으로 그린 연작 중 하나다.

저자 중 하나로, 심리분석가이자 C G 융 연구소 그림 아카이브 큐레이터인 루트 암만은 A.가 이 작품 전에 한동안 그림을 쉬었다는 데 주목한다. 암만은 자신의 성적 환상을 융에게 투사했던 A.가 융과의 교류 중단으로 실망감을 느끼고 휴가를 떠났을 것으로 추정한다. 만남은 재개됐고, 이 그림엔 무의식과 의식의 갈등이 밝음-어둠, 위-아래의 선명한 대비로 나타난다. 갈등 극복의 의지도 엿보인다. “괴물은 어두운 지하 세계에 붙잡혀 있는 듯 보이지만 얼마나 생동감 넘치게 위의 세계로부터 한 줄기 빛을 가져오는가!”

융의 환자였던 50대 여성 'A.'가 치료의 일환으로 그린 연작 가운데 하나. 밝은 주황빛 태양과 꼬리가 만들어낸 어두운 원, 위와 아래, 밝음과 어두움 같은 대비가 나타난다. /취리히 C G 융 연구소

융은 환자들에게 내면의 인물들(인격화된 정신의 콤플렉스)과 대화하고 그 내용을 그림으로 그리게 했다. C G 융 연구소에 소장돼 있는 환자들의 그림을 전문가들의 해설을 곁들여 엮었다. 융은 무의식적인 이미지를 의식적으로 형상화하는 과정을 통해 정신분열을 치유할 수 있다고 봤다. “이 방법의 치료적 효과는 의식이 무의식과 함께 작업하도록 해서 무의식을 의식에 통합시키는 데 있다.”

그림의 의도나 제작 과정은 대부분 명확하지 않다. 그런데도 이 그림들이 의미 있는 이유는 뭘까. 환자들에게 그림을 권하는 융의 말은 ‘환자’가 아닌 이들도 곱씹어볼 만하다. “당신은 내면의 그림과 인물들 안으로 더 깊숙이 들어가 그 안에서 의식적이고 비판적인 자기(Selbst·의식과 무의식을 총괄하는 정신)가 되어야 합니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이 내면의 그림들은 그 자체로 무척 강렬하고 예술적이다. 채민기 기자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