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희 정승은 '감히' 그 글자를 썼다..고택 21곳에 얽힌 속깊은 이야기

김홍준 2021. 3. 6. 00:22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선비문화를 찾아서, 김구철 지음, 오색필통

에헴. 선비라고 하면, 우선 이런 소리 하나 떠올릴 수 있겠다. 이 책은 선비의 외관이 되는 ‘명가와 고택’ 21곳을 두루 살핀다. 우선 건축학. 손을 타면 본디 단단한 것도 물러지니 주춧돌은 얼추 다듬고 만다. 그 위에 기둥·보·도리. 팔작지붕 유려한 곡선을 타고 건축학은 스토리로 변신해 춤춘다.

경기도 파주의 반구정. 황희 정승이 은퇴해 기거한 곳이다. [사진 오색필통]
황희는 파주 반구정에서 갈매기와 벗해 황혼에 든다. 숭정·근정처럼 정(政)은 궁궐 편액에나 쓰는데 황희가 ‘감히’ 가져왔다. 안동 임청각에는 코로나 시대를 예견한 듯 손을 싹싹 씻고 드나들 수밖에 없는 건물이 있다. 일제가 중앙선 철로로 절반을 날렸다.
경북 안동의 임청각은 일제가 깔아놓은 중앙선 때문에 절반 가량 싹뚝 잘려 나갔다. 독립운동 가풍의 기를 꺾기 위함이다. [사진 오색필통]
전남 구례의 운조루는 민초를 위해 쌀을 나눠주고, 밥 짓는 연기조차 미안해 굴뚝을 낮게 만들었다. [사진 오색필통]
구례 운조루는 도연명의 귀거래사에서 따온 이름이다. 굴뚝을 낮게 만들었다. 논산 명재 고택은 18세기 '엄친아'의 집이다. 임금 셋이 벼슬 좀 하라고 성화였다. 집도 제자들이 앞다퉈 지어줬다.
충남 논산의 명재 고택은 18세기 '엄친아' 윤증의 집이다. 임금 3명이 벼슬 길에 오르라고 간청했고 제자들이 앞다퉈 집을 지어줬다. [사진 오색필통]
궁금할 테다. 황희의 정(政)이, 중앙선의 의도가, 굴뚝의 낮음이, 엄친아인 까닭이. 이 책은 이렇게 고택의 생김새와 쓰임새라는 ‘밖’에서 사람과 역사라는 ‘안’으로 접어든다. 300여장의 사진이 돕는다.
에헴. 거드름인가, 으름장인가. 아니다. 저자는 고택에 깃든 선비정신의 존재를 알리는 작은 인사치레라 말하고 싶어 한다.
김홍준 기자 rimrim@joongang.co.kr

.

Copyright © 중앙SUN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