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고개 드는 백신 불안..'11월 집단면역' 자신할 수 있나

2021. 3. 6. 00:0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내에서 총 22만 명이 그제까지 코로나 백신을 맞았지만, 백신 접종에 대한 국민의 불안감은 좀체 사그라들지 않고 있다.

접종 후 사망자 수가 6명으로 늘어난 데다 중증장애시설 입소자이긴 해도 20대가 사망한 사례마저 나오고 있어서다.

이런 점에서 정부는 백신 신뢰 회복을 위해 접종 직후 사망자의 원인분석 결과를 구체적이고 투명하게 국민에게 밝혀야 한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국내에서 총 22만 명이 그제까지 코로나 백신을 맞았지만, 백신 접종에 대한 국민의 불안감은 좀체 사그라들지 않고 있다. 접종 후 사망자 수가 6명으로 늘어난 데다 중증장애시설 입소자이긴 해도 20대가 사망한 사례마저 나오고 있어서다. 전체 이상반응 신고(1578건)의 절반을 넘는 860건이 그제 하루 사이 몰린 점도 눈여겨 볼 대목이다.

지금은 역학조사, 의무기록 조사 등을 통해 접종 연관성을 확인 중인 방역당국의 검증을 차분히 기다려야 할 때다. 코로나 백신과 사망 사이에 연관성 있는 사례는 아직 세계에서 한 건도 보고되지 않았고, 6명의 사망자도 뇌 심장 등에 이상이 있는 기저질환자라는 점에서 과민하게 반응할 일은 아니다.

다만, 전체 접종자 중 사망신고 비율(0.003%)이 미국(0.002%)보다 미세하게나마 높고, 사망자 모두 아스트라제네카(AZ) 백신 접종자란 점은 우려되는 사항이다. 정세균 총리는 어제 “이번 달 약 35만 명분, 4~5월 70만 명분 등 총 105만 명분의 AZ 백신 공급일정이 확정됐다”고 밝혀 2분기 ‘백신 공백’ 우려를 조금은 덜었다. 하지만 AZ 백신에 대한 불신이 커진다면 자칫 헛수고가 될 수도 있다.

세계 105번째로 뒤늦게 접종에 나선 만큼 빠른 시간표대로 차질없이 진행돼야 정부가 어제 공청회에서 밝힌 ‘사회적 거리두기 체계 개편안’(초안)이 제 효과를 거둘 수 있다는 점도 중요하다. 정부는 10만 명당 환자수를 기준으로 거리두기 단계를 간소화(5단계→4단계)하고, 다중이용시설 운영 규제를 최소화한다는 방침을 세우고 2~3주간 의견 수렴 뒤 확정할 계획이다. 지금은 새 거리두기의 2단계에 해당돼 식당 카페 등의 운영시간 제한이 없게 되고, 8명까지 모임도 가능해진다.

이런 점에서 정부는 백신 신뢰 회복을 위해 접종 직후 사망자의 원인분석 결과를 구체적이고 투명하게 국민에게 밝혀야 한다. 요양병원 입소자들도 접종 전후 면밀한 관리를 통해 위험한 상황으로 악화하지 않도록 밀착 관리해야 한다. 문재인 대통령이 늦어도 내달 초엔 백신을 접종할 것으로 알려졌지만, 등 떠밀린 듯한 느낌이 없지 않아 아쉽다. 백신에 대한 국민의 불안심리를 가라앉히지 못하면 ‘9월 국민 70% 1차 접종’, ‘11월 집단면역’이란 목표의 근처에도 다가가기 힘들 것이다.

경제지 네이버 구독 첫 400만, 한국경제 받아보세요
한경 고품격 뉴스레터, 원클릭으로 구독하세요
한국경제신문과 WSJ, 모바일한경으로 보세요

ⓒ 한국경제 & hankyung.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