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0년 고찰' 내장사 화마 피해..창건 이래 4번째

손봉석 기자 paulsohn@kyunghyang.com 2021. 3. 5. 22:03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스포츠경향]

전북소방본부 제공


백제 시대 창건이 된 전북 정읍시 천년 고찰 내장사(內藏寺)가 5일 불에 휩싸이며 건립 이래 네 차례 화마 피해를 보는 비극을 맞았다.

전북경찰청은 5일 내장사 대웅전 방화 피의자인 승려 A씨를 현주건조물방화 혐의로 현행범 체포해 조사 중이라고 밝혔다.

A씨는 이날 오후 6시 30분쯤 대웅전에 인화물질을 뿌리고 불을 지른 혐의를 받고 있다.

체포 당시 그는 술을 마신 상태였던 것으로 전해려졌다.

내장사는 백제 무왕 37년인 636년 영은조사가 백제인 신앙적 원찰로서 50여 동 전각을 세우고 영은사로 창건했다. 1557년(조선 명종 12년) 희묵 대사가 영은사 자리에 법당과 당우를 새로 건립해 중창하고, 산 안에 무궁무진한 보물이 숨어 있다고 해 절 이름을 내장사로 칭했다.

첫 비극은 조선 중기 때 닥쳤다. 정유재란 때 사찰이 전소되는 불운을 겪었으며, 이후 1639년(인조 17년) 부용 대사가 중창하고 불상을 도금했다. 1779년(정조 3년) 영담 대사가 대웅전과 시왕전을 중수하고 요사를 개축했다.

1923년 백학명 선사가 사세를 크게 중흥시킨 뒤 1938년 매곡 선사가 대웅전과 명부전, 요사채 등을 신·개축해 내장사 면모를 일신시켰으나 한국전쟁 초기인 1951년 1월 내장사와 암자가 전소됐다.

1957년 주지 야은 스님이 해운당을, 1958년 다천 스님이 대웅전을 건립했다. 1965년에는 대웅전과 불상과 탱화를 조성해 봉안했다. 1974년 국립공원 내장산 복원 계획에 따라 대규모 중건이 이뤄졌다.

그러나 2012년 10월 31일 다시 원인을 알 수 없는 불로 내장사는 잿더미가 됐다. 당시 화재는 사설 보안업체의 감지 시스템에 의해 발견됐으나 이미 전소된 후였다.

정읍시는 화재로 소실된 대웅전 옛터에 시비 등 25억원을 들여 건물을 복원했다.

165㎡ 규모 대웅전은 정면 5칸, 측면 3칸에 팔작(八作)지붕을 이었다.

이 대웅전은 허망하게도 이번 승려 방화로 또다시 불에 탔다.

손봉석 기자 paulsohn@kyunghyang.com

Copyright © 스포츠경향.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