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쿠시마 사고 10년 됐는데..제염특별구역 85% 오염 여전

김정수 2021. 3. 4. 14:2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일본 정부가 후쿠시마 원전 사고에 따른 방사성 물질 오염을 제거했다고 발표한 지역의 85%에서 여전히 오염 제거(제염) 작업이 이뤄지지 않았다는 국제 환경단체의 분석이 나왔다.

그린피스는 후쿠시마 원전사고 발생 10주년을 앞두고 4일 발표한 '2011~2021 후쿠시마 방사성 오염의 현실' 보고서에서 이렇게 밝히고 일본 정부에 과학적 기반을 무시한 피해지역 주민 귀환 정책을 중단할 것을 촉구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그린피스 10년간 32회 조사 보고서 발표
"제염 불가능 산림지역 장기오염원 될 것"
"비과학적 귀환 중단·폐로방식 변경해야"
2011년 3월11일 폭발사고가 발생한 일본 후쿠시마 원전 일대. 그린피스 제공

일본 정부가 후쿠시마 원전 사고에 따른 방사성 물질 오염을 제거했다고 발표한 지역의 85%에서 여전히 오염 제거(제염) 작업이 이뤄지지 않았다는 국제 환경단체의 분석이 나왔다.

그린피스는 후쿠시마 원전사고 발생 10주년을 앞두고 4일 발표한 ‘2011~2021 후쿠시마 방사성 오염의 현실’ 보고서에서 이렇게 밝히고 일본 정부에 과학적 기반을 무시한 피해지역 주민 귀환 정책을 중단할 것을 촉구했다.

이 단체는 2011년 3월 후쿠시마 원전사고 발생 2주 만에 현지에 방사선 전문가팀을 보낸 것을 시작으로 지난해 11월까지 모두 32회에 걸쳐 후쿠시마 현지에서 재난으로 인한 방사선 영향을 조사했다. 이번에 발표한 보고서는 그동안의 조사 결과를 종합한 것이다.

일본 정부는 사고 원전에 근접해 특히 오염도가 높은 귀환곤란지역을 제외한 제염특별구역은 제염작업이 대부분 완료됐다고 발표했다. 연인원 3000만명이 동원된 이 작업에는 2019년 3월까지 280억달러(약 31조5천억원)이 투입됐다.

하지만 그린피스가 정부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제염특별구역 840㎢ 가운데 실제 제염 작업이 완료된 면적은 15%인 120㎢에 불과한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행정구역 전체가 제염특별구역에 들어간 7개 지역 가운데 가장 면적인 넓은 이타네 지역에서는 전체의 79%인 1만8183㏊가 제염되지 않은 상태이고, 두 번째로 넓은 나미에 지역에서 조금이라도 제염이 된 곳은 10%인 2140㏊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두 지역은 2017년 3월 주민들에 대한 피난 명령이 해제됐으나, 방사성 준위가 사람이 거주하기에는 여전히 위험한 수준이라는 것이 그린피스의 설명이다.

그린피스가 지난해 11월 조사한 결과를 보면, 이타테의 한 주택에서는 부지 주변 11개 구역 중 5곳에서 방사선량이 정부 목표치(0.23μSv/h)를 초과해 평균 선량이 0.5μSv/h나 됐다. 나미에의 한 학교 바로 외부 구역에서는 측정지점의 93%가 정부의 선량 목표치를 초과했음에도 일반인 출입이 허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후쿠시마 제염특별구역 안 7개 행정구역의 오염된 면적 중 85%가 제염작업이 진행되지 않은 것은 산림 지역이기 때문”이라며 “이 지역은 제염이 불가능해 앞으로 계속해 후쿠시마를 재오염시키는 장기 오염원이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 보고서를 작성한 숀 버니 그린피스 수석 원자력 전문가는 “일본 정부는 후쿠시마 주민 보호를 위해 과학 기반의 분석을 무시하는 귀환 정책과 제염 프로그램을 즉시 중단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린피스는 이날 함께 발표한 ‘후쿠시마 제1원전 폐로 기술 분석 보고서’를 통해 일본 정부에 고준위 방사성 물질 오염수를 증가시키는 현재의 폐로 계획 대신 용융된 연료 냉각 방식을 물에서 공기로 바꾸고 원전 주변에 해수와 지하수 유입을 막는 해자를 설치해 오염수를 줄일 것을 대안으로 제시했다.

장마리 그린피스 기후에너지 캠페이너는 “후쿠시마 원전 사고가 초래한 방사성 오염 피해는 한 세기 너머까지 해결되지 않을 인류의 짐”이라며 “일본 정부는 임박한 오염수 방류 계획부터 철회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정수 선임기자 jsk21@hani.co.kr

Copyright © 한겨레.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크롤링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