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접종후 사망 1381건, 英 402건.."백신과 인과관계 확인 안 돼"

김민정 기자 2021. 3. 4. 12:17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세계 각국에서 코로나 백신 접종 건수가 늘어나면서 접종 후 사망 사례 역시 증가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접종 후 사망 사례들이 보고되면서 백신 자체에 대한 불안감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하지만 현재까지 국내외에서 아직 백신 접종과 사망 사이의 인과관계가 확인된 사례는 없다.

4일 현재 아워월드인데이터에 따르면 전 세계 코로나 백신 접종 건수는 현재 2억6857만건에 달한다. 이 중 접종 횟수가 7863만건으로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접종이 이뤄진 미국의 경우 백신 접종 후 사망 인원이 1400명에 육박한다. 미 질병통제예방센터(CDC)에 따르면 지난 12월 14일부터 3월 1일까지 미국에서 백신 접종 후 사망한 인원은 1381명으로, 당시 총 접종건수(7600만회 이상)의 0.0018% 수준이다. 하지만 미 CDC는 홈페이지를 통해 “사망 진단서와 부검 및 의료 기록 등을 검토한 결과 백신 접종이 환자의 사망에 영향을 줬다는 증거가 없다”고 밝혔다.

질병관리청이 집계한 국외 이상반응 보고 현황에 따르면, 영국에서도 백신 접종 후 402건의 사망 사례가 보고됐다. 프랑스도 171명, 독일 113명, 노르웨이 93명, 캐나다 6명이 사망했다. 그밖에 인도, 포르투갈, 브라질, 스페인, 덴마크, 핀란드, 아이슬란드, 스웨덴 등에서도 백신 접종 후 사망한 사례가 보고됐다. 하지만 현재까지는 백신 접종과 인과관계가 확인된 사례는 없다. 독일에서 예방 접종을 담당하고 있는 파울 에를리히 연구소(PEI)도 독일 내 113명 사망과 관련해 “환자들이 기저 질환으로 사망한 것으로 보고 있으며 예방 접종과 인과관계는 없다”고 밝혔다.

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이 3일 오후 충북 청주시 질병관리청에서 열린 코로나19 예방접종 이상 반응 신고 사례 및 조사 경과 브리핑에서 자료를 살펴보고 있다. /연합뉴스

노르웨이의 경우 지난 1월 노인 33명이 화이자 백신을 접종한 후 6일 이내에 사망했는데, 당시 노르웨이 보건 당국과 세계보건기구(WHO)는 성명을 통해 백신이 사망에 기여했다는 증거를 찾지 못했다고 밝혔다. 해당 고령자들의 사망이 같은 연령대의 사망률과 거의 일치하는 수준이라고 판단한 것이다. 노르웨이 당국 관계자는 “노르웨이의 요양원에서는 하루 평균 45명이 사망한다는 점을 기억하는 게 중요하다”며 “보고된 사망자 수(33명)가 요양원 환자 1000명당 1명 수준에도 미치지 못한다”고 밝힌 바 있다.

국내에서도 잇따라 백신 접종 후 사망 사례가 발생하면서 보건 당국은 접종 기피 우려에 촉각을 세우고 있다. 질병관리청은 3일 브리핑을 열고 이날 발생한 사망자 2명의 증상과 사망 과정, 향후 조사 계획을 상세히 설명했다. 질병청에 따르면, 고양시 일산동구 한 요양병원에서 지난 2일 오전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접종한 50대가 심장 발작과 호흡곤란을 일으켜 응급처치를 받았으나, 3일 오전 다시 심장 발작이 나타나 사망했다. 평택의 한 요양병원에서는 지난달 27일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맞은 60대가 접종 다음 날 오후부터 고열과 전신 통증 등의 이상 반응을 보이다 패혈증과 폐렴 등의 증상이 나타나 3일 오전 사망했다. 질병청은 예방접종과 사망 간의 연관성을 조사 중이다.

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세계 각국에서도 접종 후에 기저질환자나 다른 원인으로 사망자가 다수 보고됐지만, 조사 결과 현재 사용하고 있는 화이자나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으로 인한 사망으로 확인된 사례는 아직 없다”며 “국민들께서 과도한 불안감을 갖고 접종을 피하지 않으셨으면 한다”고 당부했다.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