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과학칼럼] 과학기술이 국력인 시대인재육성·확보 절실하다

2021. 3. 4. 11:24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과학기술 수준이 곧 국력인 시대다.

세계 각국은 치열한 기술 경쟁에 대비해 과학기술 인재를 확보하기 위해 숨 가쁘게 움직이고 있다.

우리 정부는 지난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관으로 범부처 차원의 '제4차 과학기술 인재 육성 지원 기본계획'을 발표하며 오는 2025년까지 미래 인재를 확보하기 위한 청사진을 제시했다.

과학기술 르네상스 시대를 이끌어갈 원동력은 다름 아닌 과학기술 인재이기에 이들의 육성과 확보를 우리 사회의 최우선과제로 풀어가야 하지 않을까.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과학기술 수준이 곧 국력인 시대다. 세계 각국은 치열한 기술 경쟁에 대비해 과학기술 인재를 확보하기 위해 숨 가쁘게 움직이고 있다.

미국 조 바이든 정부는 기존 과학 고문 역할을 내각 수준으로 격상하고 첨단 기술 분야 해외 인재 유입 등의 정책을 강화할 것으로 보인다.

중국도 자국 내 과학기술 인재 수가 8700만여명으로, 전 세계 1위 규모지만 여전히 ‘쌍일류 정책’, ‘귀국 유학생 우대’ 등 인재 육성과 유치에 적극적이다.

우리나라도 과학기술 인재 확보는 시급한 당면과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과학기술 인력 중장기 수급 전망에 따르면 오는 2028년까지 10년간 학사 이상 과학기술인력이 5만5000여명 부족할 것으로 보인다.

산업 분야별 단기 전망도 크게 다르지 않다.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에 따르면 AI 분야는 오는 2022년까지 학사 이상 인재가 9000여명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기술 인재 확보가 제한적인 상황에서 수요-공급 불균형을 해결하는 최선의 전략은 기존 인력의 역량을 강화해 생산성을 늘리거나 재교육을 통해 직무를 전환하는 것이다. 즉 경력 심화나 전환 등 경력 개발로 인재 부족에 대응할 수 있다.

선진국은 이 전략을 적극 구사하고 있다. 미국은 ‘인공지능 이니셔티브’를 통해 재직 근로자들에게 인공지능 기술교육을 제공해 해당 분야 인재 확충을 꾀하고 있다. 또 미 국립보건원(NIH)에서는 박사 후 연구원에서 퇴직 예정 연구원까지 생애주기에 따른 맞춤형 교육으로 경력 개발을 지원한다. 이와 함께 미 국립과학재단(NSF) 산하 과학공학통계센터에서는 석·박사 및 박사 후 연구원을 대상으로 경력 현황 등을 주기적으로 조사해 인재 정책에 반영한다.

우리 정부는 지난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관으로 범부처 차원의 ‘제4차 과학기술 인재 육성 지원 기본계획’을 발표하며 오는 2025년까지 미래 인재를 확보하기 위한 청사진을 제시했다. 기초가 튼튼한 미래 인재 양성, 청년 연구자 성장 환경 조성, 현장 과학기술인의 지속 활약 기반 마련, 인재생태계의 개방성과 역동성 강화 등이 핵심이다. 특히 첨단 기술 인재 수요는 증가하는데 이공계 입학생은 감소하는 문제에 대응코자 재직자 재교육과 경력 개발을 강조한 점이 주목할 만하다. 구체적인 전략으로 ‘평생학습 통합 시스템’ 구축 등 전 생애주기 학습 지원 강화, 디지털 및 혁신 기술 분야 교육 훈련 확대 등이 있다. 이 계획이 실효성을 거두기 위해서는 경력 개발 제도, 학습플랫폼 등 지원 환경을 신속하고 체계적으로 조성해야 한다.

국가과학기술인력개발원(KIRD)은 제4차 과학기술 인재 육성·지원 정책을 성공적으로 실현하고자 경력 개발 플랫폼 ‘K-클럽’ 확대 개편, 디지털 기반 평생학습 통합 시스템, 과학기술인 알파(α)-캠퍼스(가칭) 구축,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등 신기술 교육과정 개발, 경력 개발 실태조사 고도화 등을 속도감 있게 추진하고 있다.

대한민국 연구·개발(R&D) 예산 100조원 시대다. 과학기술 르네상스 시대를 이끌어갈 원동력은 다름 아닌 과학기술 인재이기에 이들의 육성과 확보를 우리 사회의 최우선과제로 풀어가야 하지 않을까. 과학기술 인재 확보 지략으로서 경력 개발 지원에 박차를 가할 때다.

박귀찬 국가과학기술인력개발원장

- Copyrights ⓒ 헤럴드경제 & herald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