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저변 확대를 위해 수출 희망 소상공인 1대1 밀착지원 본격 실시 - 코트라 소상공인 수출지원센터 개소 -

2021. 3. 4. 10:06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수출저변 확대를 위해

수출 희망 소상공인 1대1 밀착지원 본격 실시

 

- 코트라 소상공인 수출지원센터 개소 -

 

□ 산업통상자원부와 코트라는 기술력은 보유하였으나 수출 경험이 부족한 유망 소상공인을 발굴하여 집중지원하기 위한 ‘소상공인 수출지원센터’를 신설하고 현판식을 ‘21. 3. 4(목), 개최하였다.

 

ㅇ 이날 현판식에는 유명희 통상교섭본부장, 권평오 코트라 사장, 민홍기 중소상공인희망재단 이사장, 조봉환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이사장 등이 참석하였다.

 

< 소상공인 수출지원센터 현판식 >

 

 

 

·일시·장소 : ’21.3.4(목) 10:00∼10:40 / 코트라 6층 소상공인 수출지원센터

·주요내용 : ①수출지원센터 소개 ②현판식 개최 ③K스튜디오, 화상상담장 투어

 

□ 코트라는 종업원 10인 미만의 규모가 작은 소상공인도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수출 지원 프로그램을 꾸준히 진행하여 해외진출을 원하는 소상공인이 수출에 나설 수 있도록 지원해 왔다.

사례1) 부산에서 조미김을 만드는 직원 1명의 소상공인 업체 G社는 ‘18년 이탈리아로 수출을 처음으로 성공시켰고, ’21년에는 동남아 지역까지 시장을 확대할 예정

사례2) 강원도에서 도라지 청, 환 제품을 제조하는 직원 2명의 소상공인 M社는 블루베리, 도라지, 복분자 젤리 등 대표상품 7종을 ‘20년 처음으로 미국에 수출

사례3) 경남에 소재한 직원 3명의 가죽공예용 공구 제조 전문기업 D社는 ‘19년에 미국, 유럽, 일본 등 35개국에 수출하는 성과

 

ㅇ ‘19년의 경우, 2,900여개의 소상공인을 발굴하여 1,530여개 업체의 수출을 성공(52.5%)시킨바 있다.

ㅇ 그럼에도 우리나라의 소상공인을 포함한 수출 중소기업수는 ’20년, 94,934개(‘19, 95,229개)로 정체되고 있어, 정부는 코트라와 함께 수출의 저변을 확대하는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

 

□ 이날 개소한 ‘소상공인 수출지원센터’는 국내에 산재한 수출지원 유관기관과의 긴밀한 협업을 통해 수출 유망 소상공인 기업의 발굴부터 수출교육, 온라인 B2B 플랫폼 입점(코트라 BuyKorea 등), 바이어 발굴, 샘플배송, 수출이후 사후관리까지 원스톱으로 지원할 예정이다.

 

① 센터는 그간 신청자 대상 수출지원사업의 틀에서 벗어나,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등 소상공인 지원 유관기관의 협업을 통한 ‘찾아가는 수출컨설팅*’으로 유망 소상공인을 직접 발굴하여 밀착 지원한다.

 

* 무역관련 퇴직전문인력인 수출전문위원(약 230명)을 활용하여 컨설팅 제공

 

② 또한, 소상공인 수출첫걸음 학교*를 운영하여 수출희망 소상공인에 대한 수출실무, 국내외 온라인 플랫폼 입점 등의 수출역량 강화 교육도 병행할 예정이다.

 

* 중소상공인 희망재단과 협업으로 연중 운영

 

③ 아울러, 해외 현지로 샘플을 배송하여 관심바이어의 체험과 구매까지 이어질 수 있도록 ‘테스트 마케팅’ 일괄지원*과 함께, 수출이후에도 사업성과 분석과 애로해소 등 수출을 지속할 수 있도록 사후까지 지원할 계획이다.

 

* 바이어 발굴(무역관)→샘플운송→현지통관(무역관, 물류업체 등)→바이어 테스트(무역관)

 

□ 유명희 통상교섭본부장은 현판식에서 “오늘 센터 개소가 우리의 수출저변을 더욱 넓히는 토대가 되길 바라며, 센터가 수출을 희망하는 소상공인 누구나 수출을 쉽게 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해줄 것을 당부”했다.

Copyright © 정책브리핑.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