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솔케미칼, 1Q 사상 최대 영업익 전망..목표가 10%↑

조용석 2021. 3. 4. 09:3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KB증권은 4일 한솔케미칼(014680)에 대해 비수기인 올해 1분기에 사상 최대이익을 달성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에 따라 KB증권은 1분기 실적 서프라이즈 전망을 반영해 2021~2023년 한솔케미칼의 실적 추정치를 상향, 목표주가를 종전 29만원에서 32만원으로 올려 제시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4일 KB증권 보고서
전기차 영업익 비중 급증 예상.."3년 뒤 30%"
전고체 배터리 기술로 주가 상승 촉매제도 확보

[이데일리 조용석 기자] KB증권은 4일 한솔케미칼(014680)에 대해 비수기인 올해 1분기에 사상 최대이익을 달성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에 따라 투자의견 ‘매수(BUY)’를 유지하고 목표주가를 종전 29만원에서 32만원으로 10% 상향 조정했다.

KB증권은 1분기 한솔케미칼의 예상 영업익을 531억원으로 전망했다. 전년 동기 대비 51%, 전분기 대비 96% 증가할 것이라는 예상이다. 또 시장 컨센서스(494억원)와 비교해도 7% 상회한다.

김동원 KB증권 연구원은 “(1분기에)최대 이익을 달성했던 2020년 3분기 실적을 상회하는 어닝 서프라이즈가 예상된다”며 “이는 전기차 배터리 핵심소재 공급 (삼성SDI, SK이노베이션)이 확대되고, 반도체 소재 주문(삼성전자, SK하이닉스, TSMC)이 큰 폭으로 증가한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또 디스플레이 소재 출하 (삼성전자, 삼성디스플레이)가 빠르게 증가한 것도 어닝 서프라이즈 전망 이유 중 하나로 꼽았다.

KB증권은 1분기 사상 최대 영업익을 시작으로 회사가 이익 성장 빅사이클에 진입했다고 평가했다. 2018년 1분기 실적(영업익 220억원)과 비교해 2.4배가 증가했고, 과거 3년 1분기 영업익 평균치(285억원) 대비로도 86% 이상 높다.

특히 KB증권은 2021년 바인더, 2022년 실리콘 음극활물질, 2023년 전고체 배터리용 고체 전해질 등 한솔케미칼의 전기차 배터리 소재 확대에 주목했다. 이에 따라 전기차 배터리 소재 영업익 비중이 올해 10%에서 3년 후 30% 수준까지 급증할 것으로 추정했다.

이에 따라 KB증권은 1분기 실적 서프라이즈 전망을 반영해 2021~2023년 한솔케미칼의 실적 추정치를 상향, 목표주가를 종전 29만원에서 32만원으로 올려 제시했다.

김 연구원은 “전기차 배터리 소재업체 (포스코케미칼, 에코프로비엠)의 주가수익비율(PER) 46.1~112.0배를 고려하면 현재 한솔케미칼 주가 (2021년 선행 PER 15.5배)는 재평가 초입국면으로 판단된다”며 “특히 전기차 시장의 차세대 배터리인 전고체 배터리는 한솔케미칼이 생산 및 제조 기술에 대해 글로벌 자동차 업체와 특허를 공동 출원해 대형 고객을 미래 수요처로 확보했다는 점에서 향후 주가 재평가의 강력한 촉매로 작용할 전망”이라고 덧붙였다.

조용석 (chojuri@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