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픽뉴스] '즉답 피한 김의겸'.."아파트값 78% 폭등"

2021. 3. 3. 20:17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 앵커멘트 】 키워드로 보는 오늘의 화제 픽뉴스 시간입니다. 정치부 전정인 기자 나왔습니다. 첫 번째 키워드는 뭔가요?

【 기자 】 '즉답 피한 김의겸'

【 질문1 】 김의겸 전 청와대 대변인 이야기군요. 김 전 대변인은 김진애 열린민주당 서울시장 후보의 의원직 사퇴로 의원직을 승계하게 되죠?

【 기자 】 네 맞습니다.

김진애 후보와 김의겸 전 대변인이 오늘 나란히 국회 소통관을 찾았는데요.

김 후보는 오늘 기자회견에서 의원직 사퇴 의사를 거듭 밝혔습니다.

오는 8일까지 의원직 승계에 필요한 행정절차를 마무리할 계획인데요.

기자회견에 동행한 김 전 대변인은 의원직 승계가 비로소 실감이 난다고 소감을 밝혔습니다.

【 질문2 】 그런데 김 전 대변인이 어떤 질문에 즉답을 피했다는 건가요?

【 기자 】 잘 아시다시피 김 전 대변인은 청와대 재직 시절 서울 흑석동 재개발 상가 투기 논란에 휩싸여 사퇴를 했었죠.

의원직 승계 소식이 전해지자 나경원 국민의힘 서울시장 후보는 어제 '흑석 선생'이 입법 권력마저 손에 쥐게 됐다고 비판하기도 했는데요.

기자들도 오늘 관련 논란에 대해 입장을 물었는데 즉답을 피한 겁니다.

▶ 인터뷰 : 김의겸 / 전 청와대 대변인 - "오늘은 제가 어디까지나 김진애 후보님의 보좌진으로 이 자리에 섰습니다. 제 문제에 대해서는 여러분들에게 따로 설명드릴 기회가 있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 질문3 】 그런데, 김 전 대변인이 부동산 차익에 대해 기부하다고 했었던 것 같은데 기부는 했나요?

【 기자 】 네 기부했습니다.

지금은 열린민주당 소속이지만 지난해 총선 당시 처음에는 민주당으로 전북 군산에 출마를 하려고 했었죠.

그때 해당 건물을 34억 5천만 원에 팔았는데요.

시세차익 8억 8천만원 중 세금과 중개수수료 등을 빼고 남은 3억 7천만 원을 한국장학재단에 기부했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당시 김 전 대변인의 출마를 놓고 비판이 쏟아지면서 민주당 지도부의 만류로 결국 출마는 접어야 했습니다.

【 질문4 】 김 전 대변인이 따로 입장을 밝힌다고 하니 지켜봐야겠습니다. 다음 키워드, '78% 폭등'인데요. 대체 이렇게 폭등한 게 뭔가요?

【 기자 】 바로 서울 아파트값입니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이 지난 4년간 서울 아파트 시세변동 분석 결과를 발표했는데요.

30평형 아파트가 문재인정부가 출범한 2017년 5월에는 6억 4천만 원이었는데, 올해 1월에는 11억4천만 원으로 5억 원이나 뛴 겁니다.

78% 폭등한 거죠.

문 대통령 임기 44개월 중 아파트값이 보합세를 보인 기간은 4개월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 질문5 】 정부가 그동안 집값을 잡겠다고 수없이 대책을 발표했는데 아무런 효과가 없었군요.

【 기자 】 조사를 해보니 지난 4년 동안 총 25차례 부동산 대책 발표가 있었다고 합니다.

두 달에 한 번꼴로 대책을 내놓은 건데요.

경실련은 각종 규제는 효과가 미미했고, 부동산 대책을 발표할 때마다 오히려 집값이 폭등했다고 지적했습니다.

▶ 인터뷰 : 정택수 / 경실련 부동산건설개혁본부 팀장 - "(2017년) 8·2대책을 발표하면서 김현미 국토부장관과 김수현 청와대 사회수석이 내년 4월까지 아파트를 파시라고 경고했지만, 아파트 값은 계속해서 상승했습니다."

경실련은 정부가 규제를 강화하면 집값이 낮은 비강남으로 수요가 집중되고, 비강남 집값이 오르면 다시 강남 집값을 자극해 서울 전역의 집값이 올랐다고 분석했습니다.

정부가 이제라도 대대적인 정책 전환을 하지 않는다면 남은 임기 동안 집값은 더 상승할 가능성이 크다고 경고하기도 했습니다.

【 앵커멘트 】 경실련 지적처럼 이제라도 정책 전환을 해야할텐데요. 지금까지 정치부 전정인 기자였습니다.

Copyright © MB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